치주질환 환자수 가장 많아
치은염 치주질환 외래 다빈도 상병 통계 환자 수 1위 급여비 1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운영하는 보건의료 빅데이터 개방 시스템에 최근 업데이트된 2019년도 자료에 따르면 외래 다빈도 상병 통계에 치은염 및 치주질환(K05)이 총 환자수 1673만명, 요양 급여비용 총액 1조 5321억원으로 환자수와 요양 급여비 총액에 있어 모두 1위를 차지했다.
이는 2004년 4백만명의 환자수와 다빈도 상병 통계 8위에 불과했던 치은염과 치주질환이 2005년 5위, 2007년부터 3위, 2011년부터 감기에 해당하는 급성 상기도염에 이어 줄곧 2위를 차지하다가 지난 2019년에는 우리 국민이 감기보다 더 자주 치은염과 치주질환으로 인해 가장 많이 병원을 방문했음을 의미한다.
대한치주과학회(회장 구영) 김남윤 홍보위원장은 “이전에 없던 질환이 갑자기 생겨난 것도 아니고 이전에 없던 환자가 갑자기 생겨난 것도 아니다. 다만 현재 관리되고 있는 환자 수가 늘어난 것일 뿐”이라면서 “코로나-19에 대한 진단 검사의 능력과 우리나라의 대응이 전 세계의 표준 모델이 되듯 치주질환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대응과 우리 학회의 홍보가 전 세계의 표준모델이 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구영 회장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에 치은염 및 치주질환으로 치과를 찾은 외래 환자 수가 처음으로 1위에 랭크돼 매우 엄중한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며 ‘잇몸의 날’을 세계 선도적인 치주건강 캠페인으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올해부터 시행예정인 ‘서울시 보건소 치주병 관련 건강강좌 사업’과 대국민 홍보에 적극 앞장서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대한치주과학회는 지난 2009년 세계 최초로 ‘잇몸의 날’을 제정, 치주질환관리의 중요성과 치주질환이 전신 건강과의 밀접한 연관성을 중점적으로 알리고 있으며 지난 제11회 ‘잇몸의 날’부터는 개별 전신질환과 관련된 생활수칙을 공표하기도 했다.
한편, 치주 과학회는 올해는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제12회 ‘잇몸의 날’ 행사를 하반기로 연기했다. 4월 25일, 26일 양일간 개최 예정이던 춘계학술대회는 취소하기로 결정했다.
이를 대신해 오는 11월 7일, 8일 양일간 The K hotel에서 개최예정인 종합학술대회는 학회 창립 60주년 행사와 함께 진행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