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영역의 천연물 특집(5)
금사슬나무(Cytisus laburnum)
‘Cytisus laburnum’은 ‘금사슬나무’라 불리는 콩과식물의 낙엽활엽수 교목의 학명이며 원래 유럽이 원산지이다. 일명 Golden Chain, 노란등, 나도싸리 등으로도 불리는데 꽃은 노란색으로 5~6월에 피고 길이 20cm 정도의 꽃 이삭에 차례로 접형화가 달린다. 나무높이는 10m까지 성장하며 수양버들처럼 늘어지는 가지는 회녹색이고 털이 있다.
잎은 서로 어긋나게 달리고 3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되며 길이 3~5cm의 타원형으로 표면은 매끄럽고 잎 뒷면에는 털이 발생한다. 습한 곳에서도 잘 자라고 특히 석회질 토양에서 성장성이 좋다. 만개한 꽃의 모습이 마치 황금사슬처럼 화려해 부활제의 장식물로 자주 사용된다.
영국과 같은 유럽에서는 대표적인 봄의 꽃으로 정원, 공원, 가로변 등에 두루 심어 가꾼다.
2차 대전 중 독일군과 러시아 군인들은 병참선이 끊어져 담배가 떨어지면 말린 금사슬나무 잎을 대신 피웠는데 이것을 피우면 담배에 대한 탐닉성이 사라지는 것을 경험하고 아주 효과적인 니코틴 대체물질로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
금연보조제로써의 활용은 2차 대전 후 불가리아의 ‘Sophama’사에서 처음으로 이 나무의 말린 잎을 이용해 ‘Tabex’라는 담배 대용제를 개발, 상품화하여 유럽에서 판매를 시작했다. 그리고 이것이 나중에 미국 화이자사에서 세계적인 금연약품 ‘챈틱스’를 개발하는 계기가 됐다. 이처럼 금사슬나무 잎에서 추출해 금연보조제로 발매됐던 ‘Tabex’의 주원료인 ‘Cytisine’은 일종의 유독물질로 취급된다.
한국화이자사의 담배대체 금연약물인 ‘챔픽스(미국명 챈틱스)’ 정은 1mg 1정당 ‘바레니클린(Varenicline)’을 0.85mg 함유한다. 바레니클린은 금사슬나무(cytisus laburnum)로부터 추출된 Cytisine에 포함돼있는 천연성분이다.
바레니클린이 금연효과를 나타내는 약리학적 작용은 α-4-β-2 신경세포성 니코틴 수용체에 높은 친화력으로 결합함으로써 발현된다. 즉 니코틴 대신 니코틴 수용체에 결합해 니코틴의 효과를 차단하는 부분길항제로 작용하면서 동시에 니코틴만큼은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의 도파민 방출 효과를 나타내는 부분효현제로도 작용해 금단증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양호한 금연효과를 유도하는 것이다.
챔픽스 정을 사용하는 금연요법을 시작할 때는 금연예정일을 정한 후 정해진 날짜로부터 1주일 전부터 챔픽스를 투여하기 시작해서 니코틴에 의한 금단증상을 미리 차단하도록 한다. 용량은 투여초기 1~3일간은 1회 1정(0.5mg)씩 1일 1회, 그리고 4~7일째는 1일 2회 1정씩 복용한다. 그리고 금연시작일부터는 1일 1회 1회 2정(1mg)씩으로 용량을 증강한다.
바레니클린의 투여 기간은 최소한 12주이며 처음 12주간의 투여로 금연에 성공했다면 장기간의 금연효과를 유도하기 위해 챔픽스를 추가로 12주간 더 연장 투여하도록 권장된다. 처음 12주간의 치료로 금연에 실패하거나 치료 후 흡연을 다시 시작한 환자는 그 실패 요인을 분석하고 실패 요인을 보완한 다음 다시 시작하도록 한다. 바레니클린은 주로 신장을 통해서 배설되는 약물이므로 신장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는 주의해 투여하나 고령자나 간기능 장애환자에게 감량요법은 필요 없다.
식물성 제제인 바레니클린은 병용 금기 약물이나 연령대에 따른 투여 금기도 없으나 부작용으로 간혹 구역, 오심이나 구토, 두통, 불면증 등을 야기한다. 예외적인 경우이기는 하지만 다른 금연약물의 경우와 유사하게 극히 일부에서 자살충동을 일으킨다는 보고가 있다. 그 외에 간혹 발진이나 식욕증가 등을 보이지만 이상반응이나 급성반응이 거의 없어 장기투여가 가능한 비교적 안전한 약물로 간주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15년부터 국가 금연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흡연자들에게 챔픽스 약값을 지원하고 있다. 약국마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1정당 1900원 내외에 판매되는데 공단지원금이 적용되는 경우 본인부담금은 약 400원 정도이다. 시행 초기인 2015년에는 22만여 명이 처방받았고 2016년 35만8000여명, 2018년에는 40여만 명이 챔픽스를 투여받았다.
※ Varenicline에 의한 니코틴수용체(α-4-β-2 수용체) 차단기전은 다음과 같다.
1) 니코틴의 작용 ; 담배를 피우면 니코틴이 니코틴 수용체에 결합해서 도파민을 유리, 교감신경계를 자극함으로써 강력한 신경절 흥분및 중추신경계 흥분제로 작용하는 도파민에 의한 보상작용을 일으킨다.
2) 바레니클린의 화학적 구조는 니코틴의 그것과 유사하다.
3) 바레니클린의 작용 : 바레니클린은 니코틴 수용체에 니코틴 대신 치환, 결합함으로써 니코틴이 중추신경계에 분포하는 α-4-β-2 수용체와의 결합을 경쟁적으로 차단하는 작용(부분길항제 : Partial Antagonist)을 한다. 그리고 동시에 약간의 도파민을 유리시켜 금단증상을 나타내지 않을 만큼 최소한의 보상작용을 유도(부분효현제; Partial Agonist)함으로써 흡연중독증, 즉 니코틴 의존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다음 호에 계속)
글_김영진 박사
식품의약품안전처 중앙약사심의위원회 위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치과·자동차보험 심사위원
치의학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