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파업하는 젊은 의사들에게 미래가 있다

2020-08-28     김선영 기자

 

우리나라는 OECD 국가들 중 의사 수가 가장 적은 나라지만 의료 수준과 접근성은 다른 나라의 추종을 불허하는 1위에 랭크돼 있다. 

코로나19로 위중한 시기에 젊은 의사들이 파업을 하고 있다. 정부는 이에 대한 거센칼날을 뽑고 있다. 국민들은 ‘돈독 오른 의사 이기주의’로 매도하고 있다. 

그동안 어느 정부도 의사의 요구를 경청하고 함께 의료 정책을 논의한 적은 없었다. 이슈가 있을 때마다 정부는 삼각구도로 의사와 국민의 대치 국면을 조장해 왔다고 한다. 
근본 문제를 해결하려는 논의를 하기보다는 돈만 아는 의사와 집단 이기주의로 매도했다는 것이다. 

결국 의사들은 의료 문제의 핵심인 본질은 회피한다는 것이다. 시골에 의사가 없는 이유와 수술을 할 수 있는 시설과 인력 확보는 의사 한 사람으로는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지방의 대형병원들은 과거에는 큰 수술을 모두 시행했었다. 그러나 환자들의 대형병원 쏠림현상으로 지방 병원은 거의 파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의사 정원을 늘린다고만 해서 지금보다 훨씬 좋은 병원이 탄생하는 것이 아니라는 게 의사들의 입장이다. 더구나 의사들이 의무적으로 근무하는 공공 병원은 환자가 없어도 시설과 인력을 유지해야 한다. 시골 병원은 가끔 한번씩 하는 수술을 위해 시설 인력 다 갖춰야 하므로 당연히 병원은 적자다. 

몇 년 전 응급실 운영 기준을 상향하자 수많은 시골병원들이 응급실을 페쇄 했다. 생명을 다루는 흉부외과, 외과, 산부인과는 하지 않으려 하고 운영할 수도 조차 없다. 
의사들의 협조가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이 중대한 COVID 19 팬데믹 시기에 정말 시급하지도 않은 의사 정원 늘리는 정책을 밀어 붙일 이유가 무엇인가?

정부는 의사들의 요구사항에 귀 기울이기보다는 의사는 공공재며 히포크라테스선서를 언급하면서 의사를 국민의 적으로 만들고 있는 이 상황이 개탄스럽다는 것이다. 
코로나19로 위중한 이 시기에 젊은 의사들이 파업을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젊은 의사들이 의료 현실에 대해 무엇을 고민하고 무엇을 주장하는 지? 국민들에게는 장차 무엇이 유익할 지 정부가 한번쯤은 의사들의 말에 귀를 기울여야 할 때다. 

우리나라 의료의 앞날은 지금 파업하는 젊은 의사들에게 달려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들 중에는 훌륭한 젊은 의사들도 많기 때문이다. 그저 교과서적으로, 배운 대로, 원칙적인 의료를 의료 보험이 보장해 주기를 바라는 것이 의사들이 파업을 하는 이유라고 해야 맞을 것 같다. 그 여건을 정부가 만들어 주기를 바라는 순수한 의사들의 요구에 한번쯤 귀 기울여 주기를 바란다. 

김선영 기자는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한국화과를 졸업하고,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미학을 공부했으며 치과의료정책 전문가과정 1기를 수료했다. 현재는 아이키우기 좋은나라만들기 운동본부 홍보실장겸 대변인으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