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생태계의 재구성’ 포럼
치과의료정책연구소 정책포럼 24일 광주컨벤션센터서 개최
대한치과의사협회 치과의료정책연구소(소장홍순호, 이하 정책연구소)가 오는 24일(일) 오후2시에 ‘WeDEX 2015’가 열리는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정책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정책포럼은 ‘대한민국 치과 생태계의 재구성’이라는 주제로 새내기 치과의사들의 관점에서 오늘날 대한민국 치과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핵심요소들을 파악하고 재구성함으로써, 다가오는 미래의 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환경을 살펴보고자 마련되었다.
이날 정책포럼에서는 함태훈 前 대한공중보건치과의사협의회 회장이 ‘새내기 치과의사가 바라보는 치과계의 미래는?’이라는 주제로 주제발표를 하고, 국민(People), 치과의료제공자(치과의사, Providers), 의료비(Payments)와 정책(Policies)의 각 핵심요소에 대해 패널발표와 토론이 진행될 예정이다.
먼저 국민에 대하여 전지은 정책연구소선임연구원이 ‘치과 외래의료비 규모의 변화’를, 이성근 대한노년치의학회 부회장이 ‘노령인구의 증가와 치과의료의 변화’를 주제로 발표한다.
다음으로 치과의료제공자에 대해 함동선前 서울시치과의사회 보험이사가 ‘치과의사인력 배출 증가와 국민건강보험의 치과급여확대를 바라보는 개원의의 시각’을, 정국환치협 국제이사가 ‘치과계의 미래, 한국은 너무 좁다’를, 이강희 연세해담치과의원 원장이 ‘의료법 77조3항의 헌재 위헌 판결과 향후 치과계의 변화’를, 김준래 국민건강보험공단 변호사가 ‘의료인의 ‘의료기관 개설’과 ‘사무장병원’을 피하는 법‘을 발표한다.
마지막 의료비와 정책에 대하여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국 김상희 국장이 ‘국민구강건강 정책의 전망’을 주제로 특별토론을 할 예정이다.
홍순호 정책연구소 소장은 “특히 치과계의 미래를 짊어지고 나아갈 젊은 치과의사들의 시각에서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책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책연구소가 주최하는 정책포럼은 별도의 참가비가 없으며, 참가문의는 정책연구소(02-2024-9186~8)로 하면 된다. 또한, WeDEX 등록자는 보수교육점수를 인정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