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S] 길대현 원장의 최소침습 임플란트 MagiCore 개발 원리 (1)
본 지는 10회에 걸쳐 IBS 임플란트의 매직코어를 중심으로 최소침습 임플란트 임상증례를 연재할 예정이다. (편집자주)
1965년 브레네막 박사가 티타늄 치과 임플란트를 성공적으로 식립한 이래 현대 치과 임플란트는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면서 수 많은 임플란트 디자인과 치료법이 개발돼 왔다.
이와 같은 다양한 변혁의 기류 속에서 본 칼럼은 근래에 임상에서의 폭넓은 유용성으로 주목받고 있는 최소침습 임플란트 시스템인 IBS임플란트社의 MagiCore의 개발 원리와 특장점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MagiCore는 일체형 디자인의 임플란트로써 Magic Fin Thread, Magic Cuff, Magic Post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그림 1) 본 기고글에서는 1. Magic Cuff, 2. Magic Fin Thread, 3. Magic Post의 순서로 MagiCore의 개발 원리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1. Magic Cuff
MagiCore의 Magic Cuff 부분은 기본적으로 잇몸을 관통하는 구조물이며 표면 처리가 돼 있지 않은 non-polished machined surface로 이뤄져 있다. Bone level 2-piece 임플란트의 abutment 하방에 대응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림 2)에서 Magic Cuff의 기능을 잘 이해할 수 있다.
임상가들이 만나는 치조골이 항상 (그림 2-1, 上)과 같이 충분한 폭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라면 임플란트 수술의 난이도는 매우 낮아질 것이다. 하지만 환자의 치조골은 모든 경우가 다르고 (그림 2-2, 下)와 같이 충분한 골폭을 확보하기 힘든 경우도 빈번히 관찰된다.
이와 같이 골폭이 충분치 않은 경우 임상가들은 상방의 치조골을 삭제한 후에 임플란트 식립을 고려하거나 치조골의 concave한 부분에 GBR을 시행한 후 임플란트 식립을 계획한다.
두 방법 모두 가능하지만 그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침습적 수술이 이뤄지고 치유 기간이 늘어나게 된다. 그러나 MagiCore는 독창적인 macro design과 그에 따른 최소침습적 수술 방법을 통해 [그림 2-2, 下]와 같이 상방의 잇몸 모양을 수정함과 동시에 불규칙한 뼈의 형태를 MagicCuff 부분으로 대체해 식립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법을 적용하여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해서는 수정된 gingiva line이 유지돼야 하며 Magic Cuff 일부분과 접촉하게 되는 치조골 부위가 증상이 없어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Bone level 2-piece 임플란트 시스템과는 달리 MagiCore 임플란트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이 어렵지 않다. (그림 3)
Magic Cuff의 다른 특장점 중 하나는 임플란트 식립 후 임플란트 주변으로 치유된 연조직의 sealing에 손상을 주지 않아 술 후 장시간이 지난 후에도 심미적인 연조직 상태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bone level 2-piece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에 인상 채득과 crown setting 과정에서 임플란트 주변의 연조직 sealing이 손상될 수 있으나 MagiCore는 연조직 점착이 용이한 표면처리와 디자인이 적용된 Magic Cuff를 활용해 건강한 연조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림 4)는 bone level 2-piece 임플란트 시스템의 인상 채득과 crownsetting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모식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bone level 2-piece 임플란트 시스템에서 인상 채득과 crown setting을 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치은의 결합조직이 abutment로부터 분리되고 이러한 과정만으로 치조골의 crestal bone loss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이에 반해 MagiCore 임플란트는 일체형 구조를 가진 tissue over level의 임플란트로 그 구조상 microgap과 micromobility가 존재할 수 없으며 인상 채득 과정이나 crownsetting 과정에서도 결합조직과 MagicCuff 사이의 sealing이 손상되지 않는다. (그림 5)
따라서 (그림 2-2)와 같이 잇몸 모양을 수정해서 식립해도 처음 형성된 연조직 sealing이 단단하고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flap 형성 없이 수술이 이뤄지므로 gingiva의 연속성이 유지돼 보다 빠른 치유와 연조직 remodeling을 기대할 수 있다.
Magic Cuff는 2~5 mm의 다양한 길이가 있으므로 이를 잘 활용한다면 치조골 상방의 골흡수가 심하고 상대적으로 gingiva가 두꺼워진 경우에도 알맞게 적용할 수 있다. 특히 협측의 여유 공간을 충분히 두고 protocol에 따른 식립이 이루어진다면 시간이 흐를수록 gingiva line이 상방으로 자라 올라오는 on-growth 현상도 기대할 수 있다. (그림 6, 7)
2. Magic Fin Thread
두 번째는 MagiCore의 Magic Fin Thread 부위에 적용된 개발원리에 대해 알아보겠다.
임상가가 임플란트를 시술함에 있어 실패를 겪는 다양한 이유 중 하나가 치조골과 임플란트 간의 미세 골절이다. 미세 골절발생은 여러 원인으로 일어날 수 있는데 MagiCore의 Magic Fin Thread는 임플란트를 구성하는 티타늄과 치조골의 상이한 물리적 성질로 인해 미세 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 개발됐다. (그림 8)
소실된 치아를 임플란트로 수복한 환자가 저작 활동을 할 때 저작력은 임플란트의 구조물을 통해 치조골로 전달된다. 즉, 임플란트와 치조골이 직접 접촉을 하는 부위까지 힘이 전달되는데 기본적으로 임플란트를 구성하는 티타늄이나 티타늄 합금은 치조골과 상이한 물리적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미세 골절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MagiCore는 이에 착안해 임플란트가 최대한 치조골과 유사한 물리적 성질을 갖도록 개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