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영 편집장] 보건소에는 치과의사가 없다
내년 대선을 앞두고 의협은 벌써부터 보건의료정책제안을 위한 의견수렴에 돌입했다. 이제 치과도 대선정책기획단을 만들어 준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치과계에서는 여러 가지 현안보다도 치과의사들의 블루오션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김현풍 원장은 치과의사의 블루오션은 먼저 치과의사가 공직에 나갈 수 있는 방법을 열어주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 첫 번째가 바로 요양병원에도 치과의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나이 드신 분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치아건강 즉 씹고 먹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때문에 요양병원에 치과의사가 상주하고 있어야 한다. 촉탁의로 필요할 때만 가는 것이 아니라 거기서 덴쳐도 하고 필요한 모든 것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의사들은 요양병원에서 진료를 한다. 치과의사도 체어를 갖추고 진료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선결과제다. 요양 병원 주인들은 대개 의사가 아니다. 대부분의 요양병원은 기업이나 이사장이 운영하고 있다. 이사장이 의사가 아닌 경우에는 기업인이 만든 요양병원이 대부분이다.
두 번째 보건소에 치과의사가 거의 없다. 있다 해도 위생사가 치과의사보다 먼저 정규직으로 올라갔다. 위생사 지휘를 받게 되는 것이 치과의사다.
치과의사가 보건소장이 될 수 없는 현실도 문제다. 현재는 일반 행정직이 보건소장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제 치과위생사도 보건소장을 할 수 있다. 유일하게 치과의사만 보건소장을 할 수 없다.
치과의사가 시급한 것은 바로 이것이다. 보건소에 치과의사를 채용하는 것이 시급하다. 치과의사로서 이것이 큰일이나 관심도 없고 자기일이 아닌 것으로 도외시하고 있다.
하지만 보건소에 근무하고 싶어 하는 치과의사는 지금도 많다고 한다. 젊은 치과의사들도 보건소로 가고 싶으나 갈 길이 없다. 치과의사는 오로지 개원만 하고 있다.
하지만 보건소 공무원이 된다면 엄청난 파급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의 정신병원에도 치과가 있다가 치과의사가 그만 두면서 치과의사 자리가 없어졌다. 보 건복지부에도 치과의사가 있으나 치무과의 역할을 하지 못하니까 제조항공 이런 분야에 파급돼 있다. 치과의사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사항들을 대선 공약에 넣어 이를 추진해야 한다. 이 요구사항을 양당에 보내야 한다. 현재는 요양병원이 시급하며 큰 줄기를 해결하고 준비를 하면 추진하기 쉽다.
치과의사가 공무원이 될 수 있는 방법은 보건소로 들어가는 방법이다. 그리고 치과의사가 요양병원으로 갈 수 있는 방법 이것이 키포인트다. 요양병원은 젊은 치과의사도 갈 수 있다. 의사들은 보통 급여를 7백~8백만원을 받을 수 있다. 치과의사는 아예 자리가 없다. 치과계 미래를 향한 블루오션을 만들어 가야 한다. 지금이 최고의 적기다.
윤리포럼 강의를 하는 김현풍 원장은 구청장을 역임하기도 한 행정통이다. 윤리포럼이 필요한 이유는 바로 치과의사 수가 3만명이 넘어 과포화 됐기 때문이라고 한다. 따라서 3만 명 중 3천 명에게 공직인 보건소나 요양병원으로 갈 수 있는 길을 열어 준다면 과대광고나 과당경쟁이 사라질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라고 한다. 이번 치협 대선 정책기획단에서의 주요 키워드는 치과의사의 블루오션을 찾는 거시적인 안목에서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