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의원에서 중간관리자의 역할과 리더십
메디칼에서 배우는 이동성 원장의 우리치과 바꾸기
중간관리자는 경영자의 방침과 의도를 잘 파악하고 실제 진료 현장에서 조직의 각 구성원들이 업무를 효율적이고 성과 지향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요즘은 팀장이나 실장이라는 직책을 대부분의 병의원에서 만들어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중간관리자가 병의원에서도 필요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중간관리자는 본인의 업무 뿐 아니라 조직 구성원들의 업무를 잘 파악하여 조직이 유기적이고 매끄럽게 움직일수 있도록 만들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중간관리자에게는 조정자로서의 역할과 더불어 리더로서의 역할이 요구된다.
각 병의원은 중간 관리자를 단순히 입사한 지 오래된직원이나 연장자로 임명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로 인해 종종 병원의 조직문화가 비효율적이고 무사안일하게 흘러가는 것을 보게 된다. 그러므로 중간 관리자를 임명하기전에 미리 자질을 철저히 검증하고 나아가 리더로서 필요한 교육을 이수토록 하는 것도 매우 필요할 것이다.
또한 좋은 중간 관리자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내외부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리더십에 대한 교육은 매우 절실할 것으로 보이고 중간 관리자로 임명되기 전에 반드시 학습하여야 하는 필독서 등을 정해 놓는 것도 매우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정기적으로 중간 관리자들만을 위한 워크샵이나 연수회 모임을 가져서 이들에게 필요한 지식을 교육하고 나아가 리더십을 좀 더 몸에 익힐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중간 관리자가 제 역할을 훌륭히 수행하는 경우에 병의원의 성과가 좋아지는 것은 물론이고 경영자가 좀 더 여유로워지고 진료에 좀 더 집중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준다.
병의원의 내규에 중간 관리자에 관한 사항을 자세히 적시하여 전직원이 충분히 숙지하도록 하는 것도 성공적인 경영을 위해서 매우 필요한 일일 것이다.
자신의 업무에 대해서 능숙하고 책임감이 강하며 타인을 잘 배려하고 성취지향적인 성격을 가진 직원에게 책임과 권한을 주고 나아가 충분한 재량권을 주어서 중간 관리자로서의 업무를 수행하도록 한다면 병의원의 경쟁력은 점점 커져갈 것이다.
무엇보다도 병원 경영자는 직원전체에 대해서 리더가 원하는 인재상은 무엇이고 본원이 추구하는 가치가 무엇인지를 명확히 이해시키는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안된다.
아침마다 5분정도 모여서 인재상이나 고객만족헌장들을 모두 복창하고서 하루 업무를 시작하는 것도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