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호열 원장] 임플란트 보철의 새로운 패러다임 (3)

하이니스 보철 시스템을 활용한 Implant Immediate· Early Loading

2021-12-11     장호열 원장

Conventional loadingprotocol에서 적절한 골유착을 달성하기 위해 임플란트를 하악에서 3~4 개월, 상악에서 4~6 개월 동안 치유기간을 가진 후 임플란트 로딩을 시행한다. 
그러나 장기간의 치유기간없이 Immediateor Early Loading을 통해 임플란트 치료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면 환자와 술자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치료가 될 수 있다. 

임플란트 식립 후 Immediate/Early loading은 치아가 상실된 환자의 심미성과 기능적 회복을 위한 적극적인 술식이다. 최근 임상기술과 임플란트 표면 처리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많은 임상가들이 Immediate/Early loading에 의한 임플란트 보철을 성공적으로 시도하고 있다. 
ImmediateorEarly loading을 시행할 경우 임플란트 치료횟수를 감소시켜 주며, 전체적인 치료기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심미적 연조직치유를 기대할 수 있고, 환자들에게도 빠른 저작기능이 제공되어 심미, 형태, 기능적인 측면에서 치료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2018년 5th ITI Consensus Conference에서 Immediate implant placement 시 Immediateor Early loading은 매우 성공적으로 시도할 수 있는 술식이라 분류하였다. (Fig. 1)
 

Fig. 1. Implant Placement and Loading Protocols

하지만 Immediateor Early loading을 위한 케이스선별이 적절하지 않고 과도한 부하에 의해 임플란트 미세 동요도가 증가할 경우, 임플란트 골유착 실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성공적인 Immediate·Early loading을 시행하기 위해 다음의 조건들을 고려하여야 한다. 

1) 정확한 진단 과정을 통해 환자의 골질 및 골결손부의 형태에 따라 적응증을 선별해야 한다. 

2) 발치즉시 식립 증례에서는 가능한 비외상성발치를 시행해 야 하며, 이를 통해 양호한 혈류공급을 유지하고 및 빠른 골치유를 기대할 수 있다. 

3) 정확한 임플란트 식립와 형성을 통해 높은 임플란트 초기 고정을 획득해야 한다. 

4) 빠른 골유착을 위한 임플란트 디자인, 표면과 같은 재료적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5) 임플란트 보철물에 적절한 교합력을 부여하고, 과도한 stress 와 strain의 집중없이 교합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보철물을 제작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번회차에서는 성공적인 Immediate·Early Loading을 위한 하이니스 보철시스템의 활용과 장점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최근 많은 임상가들은 screw loosening, screw fracture, fixture fracture 등 임플란트 보철과 관련한 다양한 합병증들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합병증은 대부분 교합력이 가해질 때 fixture와 보철물의 결합 부위에 과도한 stress와 strain이 집중되어 발생한 다. 

임플란트 즉시 부하 또는 조기부하를 시행할 시에도 과도한 교합력이 임플란트와 치조골에 전달될 경우, 임플란트 주위 골흡수 또는 골유착 실패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부하가 작용할 때 교합력을 최대한 분산시킬 수 있는 임플란트 보철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임플란트 주변 연조직과 골치유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지난 칼럼에서 하이니스 보철시스템과 Cemented abutment 보철 시스템의 응력 분산효과를 유한요소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Fig. 2)
 

Fig. 2. FEA (Finite Element Analysis) test

그 결과 교합력이 가해질 때 하이니스 시스템은 임플란트-보철복합체와 marginal bone에 발생하는 stress와 strain을 유의성 있게 분산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직압(100N) 하에서 임플란트 첨단부까지 교합력이 전체적으로 분산되며 측방압(100N) 하에서는 대조군(cemented abutment)에 비해 Implant-AbutmentJoint 부위에 발생되는 힘이 72% 정도로 낮게 측정되 었다. (Fig. 3) 

Fig. 3. 임플란트-보철 복합체의 FEA

또한 marginal bone에 발생되는 힘도 수직압, 측방압하에서 대조군에 비해 각각 29%, 38%로 매우 효과적인 응력 분산효과를 보였다.(Fig. 4)
이러한 하이니스 보철 시스템의 특징은 교합력이 작용할 때, stress와 strain이 특정 부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ig. 4. Crestal marginal bone의 FEA

응력 분산효과는 최종 보철물의 장기 안정성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Immediate or Early loading을 부여하더라도 임플란트 주위조직의 생리적 안정성을 도모하고 임플란트 골유착 실패 가능성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성공적인 Immediate/Early loading을 위해서는 치조골의 상태, 임플란트 디자인과 표면, 수술법, 초기고정, stability test, 환자의 교합력과 악습 관등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시도하여야 한다.

[CASE1]
[CASE2]

위쪽 증례에서 보듯이 하이니스 보철 시스템을 활용하여 Immediate implant placement 및 Immediateloading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다. 임플란트 식립 직후 디지털 스캔인상을 채득하고 CAD 작업 후 3D 프린터로 즉시 수복물을 제작하였다. 

수술 당일 임플란트 보철을 장착할 수 있으므로 심미성과 기능적인 측면에서 환자와 술자 모두 만족할 수 있었다. 

하이니스 보철 시스템은 앞서 언급한 교합력 분산효과 외에도 스크루 유지형 보철이므로 임시 수복물의 형태 수정이 매우 용이하고 잔여시멘트에 의한 염증 발생을 우려할 필요가 없다. 
이를 통해 심미적인 연조직 재형성과 안정적인 골치유가 가능하므로 최종보철 제작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Immediateloading 시 임상의 편리성을 위해 간편한 보철제작은 필수적 요건이라 생각된다. 
하이니스 보철 시스템은 customized abutment 제작없이 디자인 파일의 3D 프린팅이나 PMMA 밀링만으로도 임시보철물 제작이 가능하므로 기존의 방식보다 Immediate/Early loading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 회차에서는 하이니스 보철 제작을 위한 디지털 시스템의 활용법에 대한 내용을 자세히 다루고자 한다. 

 

대전 장호열 치과대표원장
 前 ● 건양대병원 치과과장
     ●  건양대병원 구강악안면 외과 교수
     ●  부산대 졸업
     ●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
     ●  중부치의학연구회 부회장
     ●  하이니스 교육센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