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시대 최적의 임플란트 보철(1)

지르코니아 나사 유지형임플란트 보철: 헤리(HERI) 시스템

2022-03-25     엄상호 원장

Screw  type의 장점과  지르코니아의  장점을 합친 HERI  type 보철은 디지털 임플란트에 최적화 솔루션이라 할 수 있으며  앞으로 임플란트보철의 주류가 될 것으로 보인다. HERI  type 보철은 주조과정이 없기때문에  변형없는  정밀한 보철물 제작이 가능하다. 
최근 도입되고 있는 가이드수술법을 이용해 올바르게 식립된 임플란트 상부에 HERI type 임플란트 보철이 제작된다면 더욱  완성도있는 보철제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앞으로는지르코니아 나사방식 임플란트 보철이 주류가 될것으로 예측된다.본 지는수회에 걸쳐 HERI type 임플란트보철에 대한 엄상호 원장의  임상증례를 게재할 예정이다.(편집자주)

 

지르코니아 나사 유지형임플란트 보철: 헤리(HERI) 시스템(1)

2000년대  초반  지르코니아 치과재료의 등장은 치과계에 많은 변화와 시도를 가능케 했다.
특히 임플란트 보철영역에서 지르코니아의 뛰어난 강도와 정밀한 가공성으로 티타늄지대주를 대신하여 심미적인 지르코니아 지대주를 이용한 보철제작이 가능하게 됐다(그림 1).

그림 1. 지르코니아 지대주

그러나 전체지대주를 지르코니아로 가공하여 임플란트와 연결하였을때 지르코니아지대주의 목부위 파절과 임플란트고정체 내부의 티타늄마모로 인한 지대주의 풀림 현상등의 부작용으로(1) 인해 링크라는 새로운 개념의 지대주가 등장하게 됐다.

링크는 전치부 지르코니아 내관내면에 삽입되어 있는 작은 티타늄 지대주로써 상부는 시멘트를 이용해 지르코니아 내관과 연결되고 하부로는 임플란트 고정체에 연결되는 작은 부속이다 (그림2).

그림 2. 지르코니아 내관과 연결된 티타늄 링크(좌), 티타늄 링크(우)

2012년 소개된 헤리(HERI) 시스템보철은 링크디자인을 계량하여 상부에 내관이 아닌 크라운을 접착시켜 나사방식보철로 제작하는 방법으로써 지대주가 다양한 높이를 가져 전치와 구치모두에 적용가능하도록 한 방법이다.

이러한 간단하고 견고한  디자인으로 인해 10년  임상에서  많은  임상가들에게 신뢰받고 있는 보철방식이다 (그림3).
 

그림 3. (a) 2세대 HERI 지대주와 보철 이미지, (b) 3세대 HERI 지대주와 보철 이미지

지금 대부분의 임상에서 Cement type 임플란트보철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Screwtype의 장점과 지르코니아의 장점을 합친 HERI type 보철은 디지털임플란트에최적의 솔루션이며 앞으로 임플란트 보철의 주류가 될 것이다.

1965년 브레네막  박사에 의해 처음 소개됐고 발전되어 온 현대적 임플란트의 보철적기원은  나사방식 임플란트보철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금합금으로 제작해야해서  재료비가  비싸고, 정확한 치료계획과 수술이 필요하며,  정밀하고  복잡한 인상채득이 요구된다.

기공작업에서도 보철물의 스팬이 긴 경우 주조시 발생하는 오차를 극복하기위해 많은 노력을 필요로하는 등 보철물 제작에 어려움이 많았다. 그러나 일단 보철물이 완성되면 기능중 우발적인 탈락이 없고, 잔류시멘트에 의한 염증이 없으며, 사후문제발생시 쉽게 보철을 분리할 수있어 수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요약해 보면 술자에게는 비싸고 어렵지만 일단 완성된다면 환자에게는 유리한 장점이  많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1974년에  소개된 스트라우만社의  시멘트방식의 경우 PFM보철이 가능하여 재료비가 저렴하고 인상법은 크라운인상과 유사하여 쉬우면서도 기공료 또한 저렴하며보철물 세팅도 편리했다. 자연스럽게 시멘트방식의  임플란트 보철은 임상가에게 장점이 많아 임플란트의 대중화를 이끌게 된다.

하지만 보철물 유지력조절이 어려워 기능중 쉽게 탈락할 수 있고 잔류시멘트에 의해 염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2) 필요한 경우 쉽게 분리할 수없다는 단점이 있다.
요약해 보면 술자에게는 비용이 저렴하고  술식이 편리하지만  환자에게는 불리한점이 많은 방법이라 생각해 볼 수 있다.

2000년 초반 시멘트
방식 보철의 단점중 잔류시멘트를 없애고 필요한  경우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개선한 방법이 SCRP방식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구강 내에서 시멘트 방식의 술식을마치고 다시 분리하여 잔류시멘트를 제거한 후 나사방식술식을 또 해야하는 매우 번거롭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존의 상부가 좁아지는 시멘트방식의 지대주를 그대로 사용하다보니 수직적 인 공간제약이 있을 경우 탈락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모든 경우에 헥사지대주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두 개이상 연결된 경우에서 임플란트 방향차이가 클 경우 분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2012년 소개된  HERI type
보철의 경우 개선된 지대주디자인으로 탈락의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줄여 수직적 공간제약이 있는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하다(3).
나사방식이지만 지르코니아를 사용함으로써 재료비가 저렴하며, 기공실에서 완성된 보철물을  구강내에서 조여주는 것만으로 보철물을 완성함으로 잔류시멘트가 없다.

치은연하 부위도 지르코니아로 이루어져 임플란트주위염  방지효과가 있다(4).
또한  두 개이상 연결된  경우에서 헥사없는 지대주를 사용하기때문에 임플란트 방향 차이가 클 경우에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기존  나사방식 임플란트보철이 주조과정을  거치는 도중 정확도가 떨어진다.

반면 HERI type 보철은 주조과정이 없어 변형없는 정밀한 보철물 제작이 가능하다. 최근 도입되고 있는 가이드 수술법을 이용해 올바르게 식립된 임플란트 상부에 HERI type 임플란트 보철이 제작된다면 더욱 완성도 있는 보철이 제작될 수 있을것이다.

임플란트의 종류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임플란트 커넥션에 적용이 가능하고 디지털 라이브러리가 지원되어 스캔바디와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인상을 채득한다면 더더욱 편리하고 정밀하게 HERI type 보철을 제작할 수 있다.

HERI  Type
보철은 인접면 부위에 충분한 볼륨의 레진박스가 형성되어 있고 레진으로 채워져있어 진료실에서 인접면 수리를 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가이드수술법으로 임플란트를 바르게 심고, 구강스캔으로 모델리스 HERI Type  임플란트 보철을 제작한다면  술자에게는 편리하고 환자에게는 완성도 높은 임플란트 보철을 누구나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이런  종류의 지르코니아  나사 방식  임플란트 보철이 주류가  되리라  생각한다.

다음호에는 HERI type 임플란트보철의  장점에  관해 자세히 살펴 보겠다.  
 

참고문헌
1.Ryan  M.  Mizumoto, DMD, MS, DimitriosMalamis, DDS, MS Titanium  implant  wear  from  zirconia  custom  abutment: A clinical report J Prosthet Dent  2020;123:201-5

2. Michael Korsch, DDS a/Bernt-Peter  Robra,  MPHb/Winfried Walther, DDS
Cement-Associated Signs of Inflammation: Retrospective Analysisofthe  Effect  of Excess . Cement on Peri-implant  Tissu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Prosthodontics  2015;28:11-18.

3. BayarsaikhanE, Eom SH, Jung UW, Lee JH Monolithic zirconia FPD on modified titanium bonding bases in limited interocclusal distance: A case report. J Oral Implantol. 2019 Oct 3. doi:10. 1563

4. Antonio Scarano,*Gian Antonio Favero and Adriano Piattelli Bacterial Adhesion on Commercially Pure Titanium  and Zirconium  Oxide  Disks:  An  In  Vivo  Human Study Journal of Periodontology March 2004.

 

엄상호 원장

강남  헤리치과  원장
● 치과보철과 전문의
● 원광대 치과대학졸업, 치의학박사
● 대한턱관절교합학회 부회장
●  미국  NOVA치과대학 교환교수
●  (주) 헤리 대표이사
●  (주) 헤리바이오 대표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