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주염 백신 제작 가능성 제시
대한치주과학회 춘계학술대회 4월 27일부터 5월 3일까지 … 기초치주학에서 디지털까지
대한치주과학회(회장 허 익)는 지난 4월 27일부터 ~ 5월 3일까지 7일에 걸쳐 온라인 플랫폼에서 제 32회 춘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총 464명이 사전등록한 이번 학술대회는 ‘치주학과 임플란트학에서의 평생 학습’ 을 주제로 기초치주학에서 재생치료, 임플란트와 디지털치의학까지 아우르는 강의를 구성해 진행 했다.
기초치주학분야에서는 이시은 (전남대 ) 교수가 다양한 세균종을 표적으로 하는 점 막백신을 개발하고 그 면역반응을 관찰한 연구결과를 발표해 치주염백신의 제작 가 능성을 제시했다.
박창진 (미소를 만드는 치과) 원장은 예방치의학관점에서 적절한 환자맞춤형 구강 위생교육과 훈련이 치주치료의 기본 전제 조건이 돼야 함을 강조했다.
치주재생치료에 관한 강의로는 김옥수 (전남대 ) 교수가 연조직이식술의 발전과정 을 정리하고 장기관찰데이터를 토대로 성공적인 결과를 얻기 위한 의사결정과정을 제안했다.
이성조(단국대) 교수는 골이식재 없이 EMD만을 활용한 조직유도재생술의 다양한 증례를 선보였다. 정재은 (관악서울대 치과병원) 교수는 자연치아와 임플란트 주위 연조직성상을 비교하고 기능과 심미의 증진을 위한 연조직 이식술의 다양한 적용법을 소개했다.
디지털치의학세션에서 이재홍 (원광대) 교수는 임플란트영역에서도 딥러닝알고리 즘이 전문가의 진단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관련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해 나 갈 것을 강조했다.
마지막 세션에서는 예지성있는 임플란트 치료를 위한 치조제 증강술에 초점을 맞춰 진행됐다. 이동운(원광대) 교수는 치조골 재생술식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기위해 고려해야 할 여러가지 요소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유상준 (조선대) 교수는 골결손부의 형태와 구조에 따른 수술방식의 선택 그리고 연 조직 접근방식의 결정과 관련해 다양한 문헌을 근거로 핵심적인 원칙을 제시했다.
창동욱 (윈치과) 원장은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실제 증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임상 노하우를 아낌없이 전했다.
오원만(전남대) 교수는 치과의사와 인문학이란 주제의 특강을 통해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스스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원활한 소통을 추구하는 것이 치과의료인에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허 익 회장은 “새로운 지식에 대한 학구열을 충족시켜 드리고자 기본부터 응용까지, 기초와 임상을 총망라한 강의를 준비했다.” 며 앞으로도 대한치주과학회의 활동에 관심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