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국 원장] 바쁜 일상 속 오아시스 (39)

의미의 발견

2022-10-20     김병국 원장

제목 ≪의미의 발견≫
최장순 저 | 틈새책방 | 2020년 07월 13일 출간
쪽수 320
ISBN13    9791188949236 / ISBN10 1188949233
-----------------------------------------------------------------------------
 이 책은 브랜드에 관한 책처럼 보일 것이다. 하지만 이 책에 나오는 브랜드 이야기들은 모두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일 뿐이다. 내가 궁극적으로 말하고 싶은 메시지는 ‘의미의 획일화’를 경계하라는 것이다. - 본문 중에서

 향후 2022년 여름은 ‘폭우(暴雨)’로 기억될 것이다. 기상청 관계자에 따르면 시간당 강우량(降雨量)이 50mm를 넘어가면 하늘에서 양동이로 물을 들이붓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한다. 2022년 8월 8일 월요일, 기상청의 예보를 뛰어넘는 115년만의 폭우가 수도권을 강타했다. 강남역 등 낮은 지역들 곳곳이 물에 잠겼고 수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남겼다. 태풍 ‘루사’와 ‘매미’의 악몽이 다시금 떠올랐다.
 

하늘에서 갑자기 내리는 폭우처럼 매일 현대인들의 머리 위로 엄청난 양의 정보들이 쏟아지고 있다. 우리들은 과거 선조(先祖)들이 평생 동안 습득한 정보보다 더 많은 양의 정보를 하루 어쩌면 수 시간 만에 받아들이며 살아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홍수처럼 밀려드는 것은 정보뿐만이 아니다. 브랜드 역시 마찬가지다.

여러 산업 분야에서 많은 브랜드들이 소비자들의 간택(簡擇)을 갈구하며 탄생(誕生)과 사멸(死滅)을 반복한다. 샴푸가 다 떨어져가는 것을 발견하고 추가 구매를 위해 마트를 방문했을 때 진열장을 가득 메운 수많은 브랜드들의 제품군 사이에서 잠시 어지러웠던 순간이 떠오른다. 없던 선택 장애마저 생길 지경이었다.

‘남의 떡이 커 보인다’라는 속담은 신기하게도 브랜드들 사이에서도 통용된다. 한 브랜드가 성공을 거두면 다른 브랜드들은 모방(模倣)의 유혹을 강하게 느낀다. 볼보(Volvo)가 ‘안전’을 전면에 내세워 큰 성공을 거두자 독일 차(車) 삼총사를 비롯한 타 브랜드들 역시 안전이라는 키워드를 만지작거렸다. 결과는 당연히 비참했다. 그 어떤 자동차 브랜드도 볼보로부터 안전이라는 특징이자 장점을 빼앗지 못했다.

일본 세이부(SEIBU) 계열의 마트인 세이유(SEIYU)의 PB(private brand)로 1980년 처음 런칭(launching)한 무인양품(无印良品,MUJI)이 간결함과 뛰어난 품질로 각광을 받자 신세계인터내셔날 역시 자주(JAJU)라는 생활용품 브랜드를 출시했다. 이쯤 되면 ‘여자의 마음은 갈대’가 아니라 ‘브랜드의 마음은 갈대’라는 말이 나와도 전혀 이상하지 않을 것 같다.
 
저자는 술에 취해 갈 지(之) 자로 걷는 취객과 같은 행보를 보이는 브랜드들과 가성비(價性比) 1) 가 최고의 선택 기준인양 떠들어대는 세태(世態)에 일침을 날린다. 핵심은 의미(意味)라고. 이와 더불어 브랜드 구축과 성공을 위해 고심하는 이들을 위한 해법을 제시한다.

3장(章,chapter) ‘의미의 이동’ 중 세 번째 절(節,section)인 ‘브랜드 의미 공식’에 그 내용이 담겨있다. 저자는 브랜드를 차별화(differentiation)하기 위한 고려사항과 행동양식을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홍경민의 <흔들린 우정>이 아닌 ‘흔들린 브랜드’들이 난무하는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일독(一讀)을 권한다. 앞서 출간된 저자의 ≪본질의 발견≫, ≪기획자의 습관≫을 재미있게 읽은 독자들에게는 더욱 더 강력하게 추천한다. 왜냐하면 이 책은 저자가 가장 사랑하는 영화 <매트릭스(The Matrix)> 3부작(Trilogy)처럼 ‘최장순 3부작’을 완성하는 작품이기 때문이다. ‘어느 누구도 소외되지 않은 시대를 위하여’ 노력하는 저자에 박수를 보낸다.

 기업이 유행에 흔들리지 않고 자기다움을 구축하려면 눈에 보이지 않지만 지속적으로 추구해야 할 의미를 발견해야 한다. 그리고 그것을 구체화해 가는 실천 행위가 필요하다. - 표지 중에서

 1)가격 대비 성능(價格對比性能,영어: price–performance ratio, cost–performance, cost–benefit)의 줄임말로 소비자 혹은 고객이 지불한 가격에 비해 제품이나 서비스의 성능이 소비자나 고객에 얼마나 큰 효용을 주는지를 나타낸다. 

김병국 
포항죽파치과 원장
슬기로운 개원생활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