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Denture 1. 간단한 증례

Treatment Denture 제작

2023-01-29     김경헌 원장

③ 하악 relining
우측 mylohyoid ridge 부위 악설골근 운동범위가 커서 틀니 보더와 접촉이 심하다. 길이를 짧게 조정하였다.
좌측 mylohyoid ridge 부위는 돌출 부위가 있어 틀니 내면과 잇몸 접촉이 심하다. 접촉 부위를 삭제하였다.
1주 간격으로 4회 정도 내원하여 treatment denture 조정이 마무리되었다. 
우측 구치부 협설측 border가 좌측 부위에 비해서 짧고 빈약해 보인다. 이런 border 형태를 만드는 주체는 식사할 때 움직이는 악설골근과 협근이다.

Tissue conditioner를 첨가한 상태에서는 저녁에 잠자는 시간에도 착용해야 한다.
러버 인상재를 이용한 기능인상은 한 번에 완성도 높은 인상 결과를 얻어야 하기 때문에 쉽지 않다.

반면에 이 방법은 2~3일 간격으로 여러 번에 걸쳐서 잇몸 통증을 유발하는 부위를 삭제하고 tissue conditioner를 첨가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편안하게 식사할 수 있는 틀니로 개선해 나간다. 
Tissue conditioner을 이용한 relining 과정은 식사를 하면서 환자가 스스로 틀니 border를 만드는 과정이다. 치과의사는 조력자일 뿐이다.
치과의사라면 누구나 할 수 있는 단순한 과정이지만 틀니 유지력을 높이는 탁월한 방법이다.
이 과정을 통해서 정서적으로 틀니를 받아들이도록 격려한다. 틀니에 대한 환자의 심리적 만족도가 높으면 틀니에 대한 적응 능력이 향상된다.

완전틀니 유지력 원리
(1) 상악 유지력 원리: Suction 흡착과 folding 이중봉쇄
① 순측과 협측
음식물을 씹을 때 틀니 내면에 압박을 가하면 틀니 인상면과 악제 점막면에 있던 타액이 빠져나가면서 음압이 형성된다. 이때 형성된 음압의 힘으로 개구 시에도 틀니가 들뜨지 않고 유지된다. 
이런 원리 때문에 구강건조증이 심한 환자는 틀니 사용이 어려워 인공타액을 함께 사용하도록 안내한다.
상악 협측과 순측은 악제 점막과 틀니 내면 사이에 타액을 매개체로 한 suction뿐만 아니라 상순 점막과 협점막이 folding을 제공한다.

• 흡착판
표면이 매끄럽고 딱딱한 유리와 부드럽고 매끄러운 흡착판 사이에 물을 매개체로 하여 흡착이 이루어진다.
흡착판에 압력을 가하면 물이 배출되면서 유리와 흡착판 사이에 음압이 형성된다.
Suction이 형성되는 원리이다.

② Post dam area
Post dam area는 상악 틀니 유지력을 떨어뜨릴 수 있는 민감한 부위이다.
경구개를 넘어 연구개 부위에서 도드라진 구조물, 즉 post dam을 형성하여 틀니 내면과 밀착을 유도한다.
틀니 내면과 연구개 사이에 타액을 매개체로 한 suction 흡착이 이루어진다.
순측과 협측에서 만들어지는 suction과 folding보다는 약하지만 저작력에 충분한 유지력을 제공한다.

(2) 하악 유지력 원리: Suction 흡착, folding 이중봉쇄, mechanical blocking
① 순측과 협점막 부위
하악 협측과 순측은 악제 점막과 틀니 인상면 사이에 타액을 매개체로 한 suction 흡착뿐만 아니라 하순 점막과 협점막이 folding 을 제공한다.
② Sublingual fold 부위
Sublingual fold 부위는 sponge상 조직이 folding을 제공한다. 
하지만 sponge상 조직이 풍부하지 않으면 folding 이중봉쇄를 제공하기 어렵다. Sponge상 조직이 부족하면 개구 시 혀가 후퇴하면서 틀니 내면에 공기가 유입되어 suction 흡착이 파괴된다.
Sublingual fold양이 풍부하면 folding 역할을 해서 sealing 상태를 유지한다.

③ Mylohyoid fossa와 retromylohyoid fossa
Mylohyoid fossa 부위는 설근부 압박과 mylohyoid ridge의 저항으로 mechanical blocking을 형성한다. 따라서 mylohyoid ridge 하방으로 2~3mm 연장이 필요하다.
치조골흡수가 심한 경우에는 retromylohyoid fossa까지 border를 연장해서 유지력을 얻어야 한다. 이 부위에 연장이 많으면 침을 삼킬 때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④ Retromolar pad 부위
Retromolar pad 부위는 악제 점막과 틀니 인상면 사이에 타액을 매개체로 한 suciton뿐만 아니라 설배면과 협점막이 미약하지만 folding 이중봉쇄를 제공한다. 따라서 최종인상 시 변형없이 온전한 형태로 채득되어야 한다.
 

• 하악 완전틀니 유지력이 약한 이유
① 혀의 움직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② 의치 인상면이 좁다.
③ 개구 시 치은협 이행부 이동 범위가 2~3배 정도 크다. 
④ 설측에서는 음식을 씹고 삼킬 때 악설골근과 이설골근의 운동범위가 매우 크다.
 

 

 

김경헌 원장
現 예가치과 원장
•틀니임상, 감에서과학으로! (2021년, 대한나래출판사) 저자 
•전치부 심미보철을 위한 콜라보 저자 (2021, 대한나래출판사)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