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완전 틀니 (Full Denture) 간단한 증례
Treatment Denture 제작
완전틀니 성공 요소
① 치과의사와 치과기공사의 경험과 능력
② 인상채득
③ 적절한 VD
④ 정확한 CR
⑤ 정확한 교합평면
⑥ 환자의 협조도
이상의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VD, CR, occlusal plane을 정확하게 재현하면 심미적이고 저작 기능이 우수한 틀니가 완성된다.
문제는 이 세 요소를 정확하게 구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사용해야 할 기구들이 있다.
Gothic arch tracer를 활용하면 쉽고 정확하게 VD와 CR을 얻을 수 있다.
Shilla system이나 3D template(Stratos 교합기)를 활용하면 정확한 교합평면을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처음부터 좋은 결과를 얻기는 어렵다.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이 기구들에 대한 올바른 사용법을 체득할 수 있다.
• 얼마나 많은 틀니 환자를 진료해야 우수한 틀니를 제작할 수 있을까?
틀니 제작 경험이 많다고 좋은 틀니를 만드는 것은 아니다.
틀니 경험이 적은 경우라도 인상부터 완성까지 정확한 술식을 따라 직접 해 보면 점차적으로 실력이 향상된다. 틀니 제작에 필요한 gothic arch tracer, Shilla system(또는 3D template) 등을 사용하면서 경험을 쌓아 간다면 빠른 시간 내에 탁월한 임상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4. Duplicating Denture 제작
• Duplicating denture는 필요한가?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temporary denture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완성 틀니를 제작하기 위해 인상채득, wax rim 제작, 교합채득 그리고 배열 과정을 거치게 된다.
Treatment denture는 wax rim에 비해서 완성 틀니 제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담고 있다.
그동안 사용하던 treatment denture를 기공소에 보내면 환자는 wax denture 또는 완성 틀니가 나오는 7~10일 정도는 무치악 상태로 지낼 수밖에 없다.
대부분 환자들은 이 기간을 무치악 상태로 지내는 데 동의하지 않는다. 필자가 duplicating denture를 만들게 된 이유이다.
틀니를 복제할 수 있는 도구를 만들고 복제하는 과정에서 수없이 많은 실패를 경험하였다.
1년의 시간을 통해서 duplicating denture를 만드는 과정을 쉽고 단순하게 매뉴얼화할 수 있게 되었다.
1) 복제 틀니통 만들기
틀니 복제에 필요한 통은 교정용 리테이너 중에서 가장 큰 사이즈를 구입하면 된다. 쿠팡 등 인터넷 사이트에서 구입한다.
틀니를 담을 깊이는 15mm 정도면 적당하다. 나머지 바닥은 모델 작업용 스톤으로 채우면 된다.
리테이너 주변에 알지네이트를 고정할 수 있는 유지 구멍을 denture bar를 이용하여 만든다.
측면 유지구 역할은 복제용 레진이 경화되면 상·하 파트를 분리하기가 어렵다. 이 유지구에 드라이버 등을 넣고 비틀면 쉽게 분리할 수 있다.
2) Duplicating denture 과정
• Duplicating denture를 누가 만들까?
진료실에서나 치과기공소에서 제작이 가능하다.
진료실에서 복제할 시간을 내기 어렵거나 혹은 경험이 부족한 경우에는 알지네이트로 만든 음형 상태를 기공소에 의뢰한다. 리테이너에 담긴 알지네이트는 일정한 습도를 유지해 주면 24시간 정도는 크게 변형되지 않는다. 필자는 틀니 복제를 진료실에서 한다. 필자가 하거나 또는 진료실 실장이 한다.
(1) 상악
Temporary resin을 묽게 혼합하여 레진 치아가 있던 공간에 흘러 내리게 하여 채운다. Temporary resin 충전이 끝나면 준비된 틀니 보수용 레진을 묽게 혼합하여 비슷한 방법으로 채운다. 2~3분이 경과하면서 dough stage 전단계에 이르면 뚜껑을 닫고 밖으로 스며 나오는 여분의 레진을 제거한다. 이후 물속에 담가 둔다.
(2) 하악
3) Duplicating denture setting
Treatment denture와 이를 복제한 duplicating denture 중에서 어떤 틀니를 기공소에 보낼 것인가?
Treatment denture를 기공소에 보내야 한다. Treatment denture에는 완성 틀니 제작에 필요한 많은 정보가 상세히 담겨 있기 때문이다.
Duplicating denture는 진료실에서 알지네이트를 이용하여 복제하고, 틀니 보수용 레진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경화 과정에서 팽창과 변형이 발생한다.
Fit checker를 이용하여 내면 접촉을 검사한다. 접촉이 심한 부위는 제거해 준다.
상악은 내면조정만 거쳤다. 하악은 유지력을 높이기 위해 tissue conditioner를 이장하였다.
교합조정을 거친 후 duplicating denture를 끼고 귀가하였다.
김경헌 원장
現 예가치과 원장
•틀니임상, 감에서과학으로! (2021년, 대한나래출판사) 저자
•전치부 심미보철을 위한 콜라보 저자 (2021, 대한나래출판사)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