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엑스레이기기 시장 전망 ‘밝다’
중국 CT 시장 규모 2025년 2배 이상 성장 예상 ...관세도 0원
[덴탈뉴스=김선영 기자]중국의 2021년 치과용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40억 달러로 전년 대비 10.2% 성장했다. 치과용 치료, 진단 등을 위한 관련 의료기기 시장도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산업 컨설팅 기구인 GONYN(共研网)에 따르면, 2021년 중국 치과 치료 장비 및 기구의 시장규모는 21억 2000만 달러로 전체 시장의 53.1%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 자재·재료 시장은 13억 8000만 달러로 34.52%에 달한다. 치과용 엑스레이 기기를 포함한 진단기기 시장의 규모는 4억 9500만 달러로 전체 규모의 12.38%를 차지했다.
중국 CT 시장규모는 2020년 2억 7500만 달러에서 2022년 3억 77000만 달러로 1억 달러 성장했다. 2025년에는 2020년에 비해 2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 중국 CT 시장 규모 2025년에는 2배 이상 성장
최근 3년간 중국의 치과용 엑스레이 기기(HS CODE 9022.13 기준) 수입액은 지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한국으로부터 수입액도 역시 감소하는 추세다. 2022년 중국이 한국으로부터 수입한 치과용 엑스레이 기기 전체 수입액은 275.4만 달러로 전년 대비 59.7% 감소했으나, 이는 당해 연도 중국 전체 수입액 479만1000달러의 57.5%를 차지한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중국의 치과용 엑스레이 기기 주요수입국 중에서 한국의 연간 수출액은 1위를 차지했다. 일본, 이탈리아, 독일, 핀란드, 프랑스 등 국가들이 그 뒤를 이었다.
#년 엑스레이 기기 수요량 30~45만대 수준 예상
치과 휴대용 엑스레이 기기는 치과 클리닉에서 필수적 영상 설비라 중국 시장 보유량은 150~200만 대 규모로 추산된다. 장비 교체 주기를 약 5년으로 감안해 보면 매년 중국의 치과용 엑스레이 기기 수요량은 30~45만대 수준으로 예상된다.
중국에서 치과용 엑스레이 기기는 제조업체나 수입 대리상을 통해 유통되고 있다.
중국 치과는 공립 병원과 민간 병원으로 나눌 수 있으며 2015년부터 민간 치과가 공립 치과보다 많아지기 시작하여 지금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2023년 기준, 원산지가 한국인 치과용 엑스레이 기기 제품을 중국으로 수입할 때, 한중 FTA 협정에 따라 0관세가 적용된다.
#민간 치과도 2배 이상 증가
관연천하(觀硏天下)는 2016~2021년 사이 중국 공립 치과는 약 165개소로 거의 변동이 없으나 민간 치과는 2016년 427개에서 2021년 835개로 5년 사이에 약 두 배 가량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현재, 중국 시장의 치과용 의료기기는 피라미드 형태를 띠고 있으며, 독일의 SIRONA와 KAVO, 미국의 Carestream Health등 유럽과 미국 브랜드가 선점하고 있다.
아이미디어리서치는 2020년 기준 중국의 1인당 치과의료 관련 지출은 20.1달러에 불과하다. 한국 390.9달러, 미국 307.7달러, 일본 226.4달러에 비해 큰 격차가 있어 향후 중국 치과 산업의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클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치과 의료서비스는 기존 의료보험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았으나, 최근 치과 진료를 의료보험 지급 법위에 포함시키는 정책들도 나오고 있어 향후 중국 치과 의료 산업의 발전에 성장 동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의료보험 정책 변화로 치과산업 성장 ‘지속’ 예상
중국 네이멍구자치구 정부는 올해 1월 1일부터 15개 종목의 치과 의료서비스 항목(임플란트 이식, 치관이식, 구강식골, 의료 3D 모델링 등)을 의료보험 지급 범위에 포함시킨다고 발표했다.
위 15개 치과 의료 서비스가 의료보험 지급 범위에 포함되면서 환자의 의료비 지불 단가는 매우 저렴해 지는 효과가 있다. 임플란트 이식 가격은 의료보험 적용 후 217.4달러 수준으로 기존보다 약 53% 대폭 인하되며, 임플란트 치관 복원 비용은 의료보험 적용 후 159.4달러 수준으로 기존보다 약 41% 인하된다.
이 밖에도 중국 광저우시, 충칭시 등 지역에서도 스케일링, 불소 충치 예방 치료 등 구강 의료서비스를 현지의 의료보험 지급법위에 포함시키는 것을 검토 중이다. 따라서 향후 중국 여러 지방정부 차원의 보험정책이 치과 의료 관련 산업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자료: 아이미디어리서치(艾媒咨询), GONYN(共研网), JOINCHAIN(众成数科), 한국무역협회, Snowball Finance INC, 관연천하(觀硏天下), 도우바오연구원(头豹研究院), 중연망(中研网), 중국상업정보국, 뤠관리서치(锐观咨询), 네이멍구자치구(内蒙古自治区)인민정부 공식사이트, 창춘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