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탈뉴스임상특집] 신상완 명예교수
틀니 (Complete Denture) 와 임플란트 틀니 (Implant Overdenture)(4)
(2) 하악 compound 인상 채득 과정
환자의 오른쪽 앞쪽에서 술자는 환자가 입을 약간 다물게 한 후에 혀를 들게 하여 compound 가 loading된 트레이를 구강의 중심에 위치시키고, 트레이를 하방으로 단단하게 눌러 주며 이때 입술을 젖혀서 트레이의 전방부가 seating이 잘되게 한다. 좌우 인지와 중지를 트레이의 좌우측 소구치 부위에 위치시켜 약한 힘을 주며, 이와 동시에 혀를 전방으로 내밀게 한다. 이 상태에서 compound가 굳을 때까지 정지한 상태로 유지한다 (그림 12).
Modeling compound로 환자의 구강 내에서 인 상을 채득한 후 이를 구강 내에서 제거하는 방법은 입을 부분적으로 다물게 하고 뺨을 젖혀서 air sealing을 breaking한 후 트레이의 손잡이를 잡아 후상방으로 힘을 주어 구강 내에서 제거하도록 한다. 구강 내에서 인상을 제거한 후에 인상체를 검사하고 필요한 landmark가 나와 있는지 확인한다. 즉, mylohyoid ridge, retromolar pad와 external oblique ridge를 덮고 순설측 그리고 협측 frenum이 인상에서 기록되어야 하며 postmylohyoid fossa 부위의 연장이 완전해야 한다(그림 13).
더욱 정밀한 인상면과 mylohyoid muscle의 수축된 양상을 기록하기 위해 compound impression을 Alginate wash impression을 위한 트레이로 이용하기 위하여 하악 compound impression을 수정한다. Undercut 부위는 잘라내고 mylohyoid muscle에 해당되는 lingual surface는 2~3mm 정도의 깊이로 파내어 mylohyoid muscle의 수축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border 부위의 compound 두께를 3mm 정도가 되도록 줄여주고 높이를 약 3mm 정도 삭제한다.
이러한 변형의 과정이 끝나면 modeling compound에 Alginate wash 인상을 채득하기 위하 여 hydrocolloid 인상재(alginate)의 접착제인 Hold spray를 뿌린다. 이때는 보통 Alginate의 water/powder ratio와 다르게 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할 때보다 약간 묽게 혼합한다. 그 이유는 정확성이나 혹은 강도보다 Alginate가 물게 mix되어 low viscosity를 갖는 것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Alginate를 mixing한 이후에 Alginate paste를 compound impression의 표면에 균일하게 얹어 준다. 이때 mylohyoid groove area에 충분한 양의 Alginate가 채워지도록 주의를 해야 한다. Alginate paste를 트레이에 채운 후 앞에서 열거한 방법대 로 환자의 구강 내에 트레이를 넣는다. 그리고 환자 에게 혀를 아래 입술에 닿을 정도까지 앞으로 내밀으라고 한다(그림 14)
(그림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mylohyoid muscle이 수축된 상태에서 인상이 만들어져야 하 며, retromylohyoid fossa 부분이 정확하게 인기되어 있어야 한다.
Alginate가 setting된 후에 구강 내에서 제거하여 compound impression을 검사할 때와 같은 기준을 사용하여 점검 하도록 한다. Alginate wash material은 너무 두껍게 되어서는 안 되며 ridge 부위에서는 약 1mm 정도 되어야 하며 denture border부분에서만 어느 정도 두께를 가져야 한다.
(3) 무치악용 기성 tray를 이용한 총의치 상하악 1차 인상 채득법
(그림 16)과 같이 한국인 무치악궁에 적합한 예비인상용 무치악 트레이(FD-04-1 CDG) 를 사용하여 Alginate 인상 을 채득하는 방법 도 추천된다. 이 경우에는 상악에서는 Alginate를 평소 보다 약간 되게 mix하는 것이 추천된다.
신상완 원장
신상완 치과 (임플란트·틀니연구소)
고려대 명예교수
www.sswden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