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탈뉴스임상특집] 신상완명예교수
틀니 (Complete Denture) 와 임플란트 틀니 (Implant Overdenture)(6)
1) 상악의 최종인상
상악 개인용 트레이를 점검하여 트레이의 연장이 적절히 되었는지를 확인한다. 환자의 palate에 indelible pencile을 이용하여 vibrating line을 표시하여 이 선이 hamular notch쪽으로 연장이 되게 하고 트레이의 후방 경계를 이 선에 맞춘다 (그림 22 a, 22 b).
Tuberosity sulcus 부위는 mucosa의 reflection을 확인하기가 어려우므로 의심이 되면 low-fusing compound를 border에 조금 첨가하여 확인하며 트레이의 border가 과연장된 경우 denture bur 등을 이용하여 삭제하고 저연장된 경우는 low-fusing compound를 첨가하여 보충할 수 있다. 그리고 입술과 뺨을 들어 올려 트레이에 border가 sulcus reflection보다 조금 짧은지를 점검한다(그림 22 c).
상악 개인용 트레이의 시적과 수정이 이루어졌으면 개인용 트레이에 실리콘 인상재의 접착제를 바른 후 Light 혹은 medium body silicon rubber 인상재를 사용한다. 상악 트레이에 주름이 잡히지 않도록 인상재를 트레이에 loading(그림 23) 한 다음 환자가 반 정도 입을 다물게 한 상태에서 환자의 구강 내에 트레이를 집어넣고 트레이 앞쪽을 먼저 seating하고 그 다음에 뒤쪽을 seating한다. Seating을 하면서 좌우로 조금씩 vibration을 해 준다. 그리고 구치부위 부위를 눌러주어 후 방 구개부위로 인상재가 빠져 나오도록 하고 우측 검지로 단단하게 고정한다(그림 24 a).
또한 환자는 입을 크게 벌렸다 다물게 하여 tuberosity의 외측부분 flange의 두께를 결정해 준다. 그리고 buccal vestible 부위의 border moulding을 한 후에 labial frenum 부위의 moulding을 위해서 상순을 2~3회 아래로 내려준 후 인상재가 경화된 후 인상재가 경화될 때까지 고정하고 인상재 경화 후 구강에서 이를 제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환자가 입을 반쯤 다물게 하고 border에 공기가 들어가도록 하기 위해 입을 위로 올리고 트레이를 아래 방향으로 힘 을 주어 구강 내에서 제거한다. 구강내에서 제거한 후 상악 인상체를 검사한다. 구강내에서 제거된 인상체는 필요한 해부학 구조가 나와 있는지 확인한다.
즉 순협측 vestibular reflection은 알맞게 기록되어야 한다. 인상면은 매끈하고 주름이나 흠이 없어야 한다. 또한 hamular notch와 vibrating line을 포함한 palate가 기록되어야 한다. Palate의 bibrating line을 확인 후 인상체에 표시해 준다(그림 25).
2) 하악의 최종인상
먼저 하악의 개인용 트레이를 점검하여 연장이 적당한가를 본다. Labial ferenum, buccal frenum 부위 확인 후 개인 트레이의 tissue reflection point 까지의 연장 및 sulcus reflection 보다 조금 짧은지 확인하고 후방부위 retromylohyoid space 부위의 연장을 확인한다(그림 26).
이때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부위는 retromolar pad, external oblique ridge, masseter/temporalis region, mylohyoid muscle과 retromylohyoid fossa 그리고 sublingual fold와 palliae부위 등이다. 트레이 후방경계는 sealing을 얻기 위하여 retromolar pad의 glandular part를 덮을수 있도록 연장되어야 하고, external oblique ridge 부위까지 연장되는 게 좋고, retromolar pad와 external oblique ridge 부위의 트레이 border는 overextension 이 되지 않아야 하며 alveolar ridge crest에 대해서 약 45° 의 각을 갖게 비스듬히 trimming 되어야 한다.
환자의 구강내로 트레이를 집어넣어 환자가 연하, 입술 핥기 그리고 혀를 palatal vault쪽으로 내밀게 하여 mylohyoid muscle을 수축시킨다(그림 27).
이러한 움직임으로 환자를 불편하게 만들거나 트레이가 많이 움직이는지 점검한다. 많이 움직인다면 트레이가 과연장되어 있거나 mylohyoid muscle의 움직임이 방해된다는 것을 말해준다. 과연장된 변연은 덴춰버로 조절하고, mylohyoid muscle의 움직임에 장애가 있으면 트레이의 설측 flange의 내면을 삭제해 조절하면 된다.
신상완 원장
신상완 치과 (임플란트·틀니연구소)
고려대 명예교수 www.sswden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