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서울대치과병원, 개원 10주년 맞아 기념학술대회...오는 3월 9일

10년간의 진료 경험과 최신 연구 성과 선보인다

2025-02-20     김선영 기자

[덴탈뉴스=김선영 기자] 관악서울대학교치과병원(원장 김성민)은 오는 3월 9일(일) 개원 10주년을 맞이하여 학술대회를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치의학대학원 2층 대강당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이번 ‘관악서울대학교치과병원 10주년 기념 학술대회’에서는 ‘10년의 혁신, 100년의 미소’를 슬로건으로 내걸고, 지역사회 국립 치과병원으로서 지난 10년간의 역할을 돌아보고, 앞으로의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4개 세션으로 기획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구강 연조직 질환의 감별진단 및 초기 약물 치료(김문종 교수), 진료실에서 쉽게 접근하는 중장년층 교정치료(이미영 교수) 강연을 통해, 흔히 마주할 수 있지만 정확한 진단이 쉽지 않았던 각종 연조직 질환과 다양한 중장년층 교정 환자 증례에 대한 실용적인 접근법을 다룰 예정이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외상 치아 치료와 예후(조낙연 교수), 치아 통증, 그 원인과 해결책을 찾아서(송윤정 교수) 강연을 통해 임상의들이 어려워하는 외상 치아의 합병증 및 처치 방법과 보존과 영역에서 치과에 내원하는 환자들의 통증에 대한 진단 및 치료 방향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쉽고 빠르게 이해하는 치과 보험 청구(박치연 교수) 강의는  치과의사는 물론 치과 위생사를 대상으로 치과 보험 청구 실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공유한다.

세 번째 세션은 임플란트 주위 질환의 최신 가이드라인(김윤정 교수), 연조직 증대술과 임상 적용(정재은 교수), IARPD 실패 사례를 통한 치료 전략 제안(백연화 교수) 강연으로 구성되어 있다.

김윤정 교수는 지난 10년간 관악서울대치과병원에 축적된 임플란트 수술 데이터에 대한 간략한 분석과 더불어, 임플란트 주위염의 치료 및 유지관리에 관한 최신 지견을 정리한다. 정재은 교수는 연조직을 다루는 숙련된 테크닉을 선보이며 다양한 임상증례를 공유할 예정이며, 백연화 교수는 임플란트지지 국소의치 실패사례에 대한 대응 전략을 공개한다.

네 번째 세션에서는 진료실에서 전치부 치료 쉽게 접근하기(김웅규 교수), MRONJ 위험군 환자를 위한 임플란트 치료 전략(이주영 교수) 강연을 통해 까다로운 전치부 심미 보철 치료를 쉽게 소개하고 고령화 사회에서 나날이 증가하는 골다공증 환자의 치료 노하우를 공개 한다.

한편, 관악서울대학교치과병원은 2015년 3월 9일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에 개원한 이후, 현재 5 만 명의 구민이 이용하는 병원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