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탈뉴스리더신간] 형식을 깨는 모더니즘 미술을 넘어서서

작가의 개성마저 내던지는 포스트모더니즘으로

2025-03-07     덴탈뉴스
윤난지 著 2025년 2월 28일 한길사 발행

[덴탈뉴스=덴탈뉴스 ]1990년대 한국 현대미술계는 마르셀 뒤샹의 〈샘〉으로 대표되는 서구 포스트모던 미술을 수용해 구체화했다. 근대부터 이어진 모던 미술이 기존의 규칙을 버리고 작가의 개성과 독창성을 강조했다면, 포스트모던 미술은 차용과 혼성을 받아들이면서 작업의 출발점인 ‘작가’마저 내던졌다.

이런 미술 현장의 모습은 문학가 롤랑 바르트가 외친 ‘저자의 죽음’을 떠오르게 한다. 문학이든 미술이든, 작가가 설 자리는 사라지고 오로지 모호한 작품과 해석하는 관람자만 남는 것이다. 하지만 윤난지는 ‘작가는 죽었다’는 바르트의 말을 ‘작가는 살아 있다’며 되받는다.

윤난지는 1980년대부터 지금까지 한국 미술 현장을 지켜보며 그 변화를 글로 옮겨왔다. 〈작가는 살아 있다〉는 한국 현대미술 작가 20명의 작업을 시대순으로 해설하면서 변화하는 양상과 역사적 의미를 드러내고, ‘작가의 죽음’을 말하는 포스트모던 작품 뒤에서 ‘살아 있는 작가’를 발견한다.

새 밀레니엄에 들어선 지 사반세기가 지났다. 역사적 거리가 너무 멀어지기 전에 당대 미술을 글로 남기는 것이 윤난지가 이 책을 쓴 목적이다. 1990년대를 되돌아보는 것은 단순히 노스탤지어를 느끼기 위해서가 아니다. 1990년대는 지난 20세기와의 단절, 그리고 우리가 발 디딘 시대의 근원으로 존재한다. 독자가 이 책에 수록된 작가들과 동시대성을 느끼고, 이후의 작업을 통해 작가들과 이어지는 경로를 체감한다면 밀레니엄의 작가들이 여전히 ‘살아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