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탈뉴스치과임상] 신상완 명예교수

3. 틀니를 위한 인공치아의 선택 및 교합개념

2025-04-14     신상완 교수

II. 인공치아의 배열
결정된 수직고경에서 하악과두의 최후상방위 관계를 기록한 centric jaw relationship이라고 불리는데, 이 관계로부터 다른 모든 관계들이 계측되기 때문이다. 이제 교합상을 인공치로 대치하게 된다. 대합되는 fossa에 최대한 감합되도록 치아를 배 열하게 되고 이런 관계를 centric occlusion이라고 부른다. Jaw relationship에서 Centric relation으로 부착한 모형의 교합상 에 centric occlusion으로 치아를 배열한 것이다.

아래의 내용은 정상적인 전치관계를 가진 기본적인 Angle의 I급 관계로 치 아를 배열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하악 전치부 구치부 치아의 해부학적인 위치는 그림 61과 같으며, 구강내의 근육 및 연조직의 neutral zone에 위치하며 주변 연조직을 support한다. 구강내 근육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인공치 배열이 이루어져야 한다.
 

△ (그림 61) 상하악치아의 해부학적인 위치. 1. 상악 전치부는 Lip support, 2. 하악 전치부는 lower lip(1/3 labial surface), 3. 상악 구치부는 buccal overjet, 4. 하악 구치부는 tongue & cheek의 neutral zone에 위치하며 주변 연조직을 support한다.

1. 상악 전치부의 배열
1) 적절한 lip support를 갖도록 상악 교합제의 순면을 다듬었다면 치아들을 wax 표면에 직접 심으면 된다. Labial support 를 위해 순측 교합제를 조절하면 실수를 유발하기 쉽고, 중절치 절단의 절치유두에 대한 관계를 꼭 고려해야 한다. 만일 수직적인 교합평면의 높이와 occlusal vertical dimension만을 확립하기 위해서 교합상을 조절한 경우에는 교합평면 의 높이를 divider로 조절한 후에 절치유두를 참고하여 치아들을 배열한다.

절치유두 자연치열에서 상악 중절치의 순면은 절 치유두의 중심에서 약 10~12mm 전방에 위치한다. 발치 후 골흡수가 일어나면 절치유두가 약간 전상방으로 이동하게 되지 만, 그때에도 의치의 중절치의 순면은 적어도 8~10mm 전방에 위치해야 한다. 절치유두는 가장 유용한 생물측정학적 참고 점 중 하나이다. 물론 최종적인 치아의 위치 결정은 구강 내에 장착한 후 wax상에서 치아를 움직여가면서 관찰하는 의치 시 적 상태에서 결정된다.

2) 배열과정
① 중절치들의 순면의 장축이 수직이 되도록 배열하고 이들 간의 접촉점이 안면의 중심선과 일치되도록 한다.
② 측절치는 순면의 장축이 약간 원심으로 경사지고 또한 치경부에서 약간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배열한다.

③ 견치는 근 순면의 장축이 수직이 되도록 배열한다. 이런식으로 배열하면, 순면은 치경부에서 풍융부를 나타내도록 하여, 순면이 치경부를 향해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한다.

2. 상악 구치부 치아의 배열
치아들을 서로 너무 인접하지 않게 배열한다. 각 치아의 사이에 약간의 공간을 남겨 놓는다(약 1mm). 만일 치아를 배열 하 는 데에 template를 사용하면 모든 협측 교두가 template에 그려진 선을 따라서 놓이게 한다. 만일 template가 없다면 구치부 교합면의 높이는 divider를 이용하여 결정한다. 이 단계에서는 치아들이 평면상에 배열된다는 것에 주의한다.

3. 하악 전치부 치아의 배열
① Over bite(피개교합)이 약 2mm가 되도록 하악 전치부의 절단이 상악 절치를 절단부에서 구개측으로 약 2mm 정도 위치 에서 접촉되도록 배열한다. 그 순면의 장축은 수직으로 배열해야 하지만, 치경부는 약간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배열해야 한다.
② 측절치는 그 장축이 약간 원심으로 가고, 치경부에서 약간 들어가도록 배열한다. 이 경사는 상악 측절치보다 더 강조되 어서는 안 된다.
③ 하악 견치는 그 장축이 거의 수직이 되도록 배열하여, 단지 약간만 원심으로 경사를 갖도록 한다.

4. 하악 구치부 치아의 배열
① 이 치아들은 상악 구치들과 중심교합을 갖도록 배열한다.
② 상악과 하악 구치들의 변연융선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상악 치아들의 배열에서 인접 치아들 사이에 약간의 공간을 부여 함으로써 위의 과정이 용이해진다.
③ 충분한 협측 overjet을부여하였는지 확인한다.
④ 치아들의 장축이 교합평면에 수직을 이루고 있는지 확인한다.


III. Try-in Denture(의치의 시적)
1. Wax denture의 Try-in의 목적
Wax denture(그림 62)의 Try-in appointment의 목적은 발음과 저작기능을 점검하고 자연스런 모습(pleasing appearance) 을 점검하기 위함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의치 시적의 목적은 OVD(교합고경), Centric Jaw Relationship(CR: 중심위)을 점검 하고, Anterior appearance(전치부 심미), Tooth position(치아의 위치), Speech(발음기능) 점검에 있으며, 반조절성 교합기의 과로각의 조절을 위한 Protrusive record(전방기록 채득)에 있다.

△ (그림 62) 하악 완전 무치악 상태와 Wax denture의 시적 모습.

 

신상완 원장
신상완 치과 (임플란트·틀니연구소)
고려대 명예교수
www.sswden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