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부, '부산형 장애인 구강진료 전달체계 구축' 토론회 개최
[덴탈뉴스=홍혜진 기자] 부산광역시치과의사회(회장 김기원, 이하 부치)는 지난 4월 10일(목) 오후 2시 부산광역시의회 중회의실에서 부산광역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와 함께 ‘부산형 장애인 구강진료 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 토론회’를 개최하였다.
토론회에는 부산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 윤태한 위원장, 성현달 부위원장, 부치 전형식 부회장, 부산장애인총연합회 조창용 회장, 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회 김권수·박인순 공동대표 등 부산 시민구강 증진을 위해 많은 내빈들이 참석하였다.
이번 정책토론회는 작년 부치가 개최하였던 ‘부산시민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정책토론회’ 이후 ‘장애인 구강건강 전달체계’부터 실효성 있는 제대로 된 전달체계 구축과 25년 하반기와 26년 부산시 정책사업 제안을 위해 마련되었다.
김진범 (부산대 치의학전문대학원) 교수가 좌장으로 시작된 토론에는 성현달 부위원장의 ‘부산시 장애인 구강진료체계 개선을 위한 제언’을 주제로 발표하였으며, 주요 발제자로 건치 부산경남지부 김권수 공동대표의 ‘부산형 장애인 구강 건강 의료전달체계 수립을 위한 제안’, 부산뇌병변복지관 이주은 관장의 ‘장애인 구강 건강관리 사업 사례’를 주제로 발표가 진행되었다.
토론에서는 한국자폐인사랑협회 부산지부장 권민정 인제대 교수가 ‘자폐아에 요구되는 구강건강돌봄’, 부산권역장애인 구강진료센터 오형진 센터장이 ‘부산 장애인치과진료의 현황과 장애인 치과주치의 확대의 필요성’, 이원익 (부산대 사회복지과) 교수가 ‘구강건강의 사회적 돌봄과 제안’, 김학윤 (부산광역시 시민건강국 건강정책과) 과장이 ‘장애인 구강건강 통합지원 활성화 방안’, 부산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 성현달 부위원장이 ‘부산시의회의 역할’로 장애인 치과 주치의 사업의 필요성, 방향성 그리고 행정적 가능성과 추진 방향들을 제시하며 이야기하였다.
부산광역시는 17개 시·도 중 최초로 구강건강증진조례를 제정하고, 아동·장애인·노인 치과주치의 시범사업을 모범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전신·수면마취가 필요한 중증장애인을 위한 전문구강센터는 부산대학교병원 장애인구강진료센터와 부산의료원 장애인치과센터 두 곳뿐인 상황이다. 19년 시범사업으로 시작된 ‘장애인 치과주치의’사업을 통해 부산지역 치과 병·의원은 확대되었지만 아직 적극적인 참여와 확대가 이뤄져야 하는 상황이다.
이에 부치를 포함한 부산시민구강증진협의회(부구협)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정책토론회를 통해 장애인치과진료 관련 현장 전문가들의 목소리와 현황, 문제점을 공유하고 앞으로 추진할 정책방안 및 개선방법을 모색할 예정이다.
토론회를 마치며 부치 전형식 부회장은 정책토론회를 축하하며 시민 구강건강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온 부산광역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 성현달 부위원장, 이종진 의원, 김학윤 시민건강국 건강정책과장에게 감사패를 전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