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탈뉴스특별기획]김영진 박사 마약과 금연
제 2장 니코틴의 작용과 수용체 및 길항제 (8)
14. 니코틴의 이상성 작용
니코틴은 특이적인 뇌 내의 수용체(α-4 β-2 니코틴 수용체)에 의해 매개되는 과정을 거쳐 자율신경절과 신경단말에 작용하여 노아아드레날린 또는 아세틸콜린을 유리하고 다른 약제의 약물동력학적 변화도 유발시킨다. 니코틴이 갖는 특징 중의 하나인 이상성 작용(biphasic actions)은 투여용량에 따라 나타난다.
저용량에서는 모든 자율신경질의 흥분이 니코틴의 주작용으로 나타나지만 고용량에서는 초기의 흥분 후 전도차단이 나타난다. 이러한 이상성 작용은 부신수질에서도 나타나는데, 저용량에서 카테콜라민을 방출시키는 반면 고용량에서는 내장신경(splanchnic nerve)을 흥분시켜 오히려 카테콜라민의 방출을 억제한다.
중추신경계 흥분은 진전(tremor)과 호흡기계 흥분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고용량의 니코틴에 의하여 경련이 나타날 수 있으며, 중추마비에 의한 호흡근의 말초차단으로 인해 2차적인 호흡부진을 야기, 사망에 이르게 된다.
15. Vareniline의 작용기전
니코틴이 mesolimbic dopamine system의 수용체에 반응하는 것을 방해하는 길항제로 작용하여 니코틴의 도피민 분비에 의한 보상(reward)효과를 감소시킴으로써 담배를 피워도 흡연에 대한 만족도가 크게 저하된다. 그러나 도파민의 분비를 완전히 봉쇄시키지는 않고 정상적인 수준의 방출은 용인한다. 그러므로 완전 길항제로 보지 않고 일종의 부분 효현제로 본다.
Varenicline의 α-4-β-2 수용체에 대한 차단효과는 α-3-β-4 수용체에 비 해 500배, α-3수용체에 비해 3,500배, α-1-βγδ 수용체에 비해 2,000배나 그 선택성과 효력이 크다. 경구투여 후 최대혈장농도는 3~4시간 이내에 도달하며 반복투여하면 4일 이내 에 혈중 평형상태(steady stat)에 도달한다.
투여 시 음식물이나 투여시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투여량의 92%가 대사되지 않고 미 변형체인 active drug으로 신장을 통해 배설된다. 그러므로 대사에 따른 약물 독성은 미미한 편이다.
Varenicline을 사용하는 금연요법을 시작할 때는 금연예정일을 정한 후 정해진 날짜로부터 1주일 전부터 투여하기 시작해야 한다. 용량은 투여초기 1~3일간은 1회 1정(0.5mg)씩 1일 1회, 그리고 4~7일째는 1일 2 회 1정씩 복용한다. 그리고 금연시작일 부터는 1일 1회 1회 2정(1mg)또는 1mg용량의 정제를 1일 1회 1정씩으로 증강한다.
Varenicline의 투여기간은 최소한 12주이며 처음 12주간의 투여로 금연에 성공 했다면 장기간의 금연효과를 유도하기 위해 추가로 12주간 더 연장 투여하도록 권장된다.
16. Varenicline의 화학적 구조
Varenicline의 효과는 α-4-β-2 니코틴 수용체의 부분 작동제 작용(자극작용 과 대항작용)에 의해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자극작용은 부분적으로 니코틴보다 약하나 니코틴 수용체를 자극하는 것으로 소량의 도파민을 방출시켜 금연에 따른 이탈 증상이나 담배에 대한 욕구를 경감시킨다.
대항작용은 니코틴이 니코틴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여 그 작용을 약하게 한다. 니코틴 수용체를 니코틴 대신 점유하여 니코틴에 의한 도파민 방출이 일정량 억제되므로, 금연 중에 담배를 피워도 만족감을 얻지 못하게 한다.
인용문헌 : ‘치과처방의 완성’(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지정 2020 우수학술도서)
글_김영진 박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상근 심사위원 역임
보건복지부장관 위촉 금연진료의료인 교육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