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탈뉴스특별기획] 김영진 박사의 마약과 금연

제 2 장 니코틴의 작용과 수용체 및 길항제 (9)

2025-05-03     김영진 박사

17. 니코틴의 이상성 작용

바레니클린(Varenicline)을 함유하는 식물인 Cyticus laburnum L

Varenicline은 Cyticus laburnum이라는 식물에 함유된 생약성분으로 현실감각의 꿈이나 오심을 비롯한 다소의 부작용은 있지만 경증의 신 장애 환자나 간기능 장애 환자의 경우에도 거의 용량조절이 필요 없을 정도로 생체독성은 미미한 편이다. 금연을 목적으로 쓰이는 다른 삼환계 항우울제와 마찬가지로 자살충동이 경고되고 있고 알콜과 병용하면 비록 드물지만 발작의 기능성이 있다.

18. OECD 국가의 흡연율
 

19. 흡연으로 인한 사망률
 

전 세계 흡연자는 2010년 기준 인구 6명 중 1명꼴인 11억 명에 달하며, 이중 5억 명 이상이 담배로 인해 사망할 것이라고 세계보건기구(WHO)가 밝혔다. WHO 보고서는 남자는 세계인구의 40~45%, 여자는 10~12%가 담배를 피우고 있으며 매년 3백 50만 명이 흡연관련 질병으로 사망하고 있다고 집계했다.

2020년에는 흡연자 비율이 전체의 12%를 넘어서 매년 1천만 명이 희생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AIDS, 결핵, 교통사고, 자살, 분쟁학살 등에 의한 사망자를 모두 합친 것보다 더 많은 수치다. 또 전세계 어린이 중 2억 5천만 명이 흡연으로 인해 목숨을 잃을 것이라는 예측도 제시했다.

지금 현재의 흡연추세를 볼 때 2020년경이 지나면 흡연은 세계인의 사망에 있어서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전체 인구 8명 중 1명이 흡연으로 말미암아 사망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망자 중 70%는 개발도상국에서 나올 것이다. 흡연이 유발하는 질환은 암 종류만도 폐암, 구강암, 인두암, 췌장암, 후두암, 방광 암, 신장암 등 8가지에 달한다. 또 폐결핵, 폐렴, 독감, 기관지염, 폐기종, 천식, 만성 기도장애와 같은 호흡기질환, 류머티스성 심장질환, 고혈압, 폐성 심장질환, 뇌혈관 질환, 동맥경화, 대동맥류와 같은 심혈관질환을 일으키고, 체중미달아, 신생아 호흡 장애증후군, 신생아 돌연사 증후군 등 소아질환도 유발한다.

흡연은 고혈압, 고콜 레스테롤과 함께 뇌혈관 질환, 관상동맥 질환, 복부 대동맥류, 말초혈관 질환과 같은 죽상경화질환의 세가지 주요위험인자이다. 흡연이 심혈관 질환의 유병율과 사망률을 높이고 금연하면 심혈관 질환의 유병율과 사망률이 감소한다. 하루에 한 갑 이상 담배를 피운 평균 40~59세의 남성에서 관상동맥질환의 비교 위험도는 2.5배이며 위험도는 흡연량에 비례해서 증가한다.

65세 이상 남성에서 관상동맥질환 사망의 25%이상과 65세 이하에서 같은 질환에 의한 사망의 45%가 흡연에 의한 것이다. 여성에 있어서 관상동맥질환의 위험도는 남성과 유사하며 흡연 여성의 심근경색 증의 비교위험도는 비흡연자나 금연자에 비해 3.0배이다. 하루에 25개비 이상 흡연여성은 치명적인 관상동맥질환의 위험도가 5.5배, 비치명적인 관상동맥질환 위험도가 5.8배, 협심증의 위험도는 2.6배이며 하루 1~4개비 정도의 적은 양의 흡연도 관상동맥질환의 위험도를 2배로 증가시킨다.

보통 10대에 담배를 피우기 시작한 사람은 흡연으로 야기되는 질환으로 사망할 확률이 50%이며 그 중 절반은 정상적 수명보다 평균 22년이나 단축된 70세 이전의 나이에 사망하게 된다.

인용문헌 : ‘치과처방의 완성’(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지정 2020 우수학술도서)

 

 

김영진 박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상근심사위원 역임
보건복지부장관 위촉 금연진료의료인 교육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