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탈뉴스임상특집] 신상완 명예교수
III. Denture relining(의치 첨상)의 원리
가철성 의치(removable denture)의 지지조직의 흡수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필수 불가결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시간경과에 따른 잔존 치조제의 흡수는 의치(denture)와 지지 조직간의 적합도를 떨어뜨려 결과적으로 의치의 유지와 안정이 점차 소실되는데, 이렇게 감소된 접합도 및 유지와 안정을 다시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의치상(denture base)에 첨상 (relining)이나 개상(rebasing)을 하게 된다.
1. Denture relining Method(의치 첨상법)
의치의 첨상방법은 구강 내에서 첨상을 완성하는 직접법과 구강 내에서는 인상을 채득해서 기공실에서 첨상을 완성하는 간접법으로 나눈다. 이중 치료실에서 완성하는 직접법에 의한 첨상 을 이용한 치료방법은 조직 변화의 양이 적거나 중등도일 경우 가장 좋은 치료법이 될 수 있다. 의치상 첨상을 위한 원칙적인 중요한 방법이 지켜져야 한다.
우리가 의치의 악간관계를 변경하지 않을 경우에 는, 직접법이나 간접법 첨상의 경우에도 항상 Closed mouth techniq ue(폐구인상법)에 의해서 첨상과정을 진행해야 한다(그림 87). 그리고 첨상 후에는 의치의 교합조정을 시행해야 한다.
* 의치의 첨상의 원칙
1. Closed mouth technique
2. 의치첨상 후 교합조정
1) Direct denture relining(직접 의치첨상)
직접 의치첨상 술식은 번거로운 기공과정을 생략하고 환자가 의치 없이 지내는 시간이 없이 당일 치료실에서 첨성을 마무리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진료실에서는 대부분 첨상 재료로 자가 중합용 레진을 많이 선호하는데, 기존의 일반적인 자가중합형 레진에 비해 중합 반응에 의한 열발생량과 monomer(단량체)에 의한 구강 점막 자극, 불량한 색조 안전성, 기존 의치상과 첨상 재료간의 결합력 부족등이 문제가 될 수 있는데, 그러한 문제점을 많이 개선한 Direct relining material의 용도로 개발된 제품으로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Tokuyama Rebase II(그림 88)를 소개하고자 한다.
Relining을 위해서는 의치의 조직면과 변연부위를 거칠게 해준 후 Reb ase aid를 발라주고 바깥부분에는 resin 분리제나 vaseline을 발라주어 구 강 내에서 relining resin이 일시 경화 후에 잉여 resin을 제거하기 쉽도록 해준다(그림 89).
그리고 첨상레진의 monomer와 powder의 resin 혼합물의 viscosity가 light body VPS와 비슷한 점도를 가질 때까지 powder를 추가하면서 혼합한 후 의치의 내면에 올려준다(그림 90).
2)Relining Materials
Tokuso-Rebase(Hard, Soft) Tokuyama Co,
그리고 구강 내에 의치를 삽입하여 최종인상 채득할 때와 같이 border moulding을 시행한다. Border moulding이 끝난 후에 환자가 centric 상태에서 다물게 하여 Closed mouth technique으로 relining resin이 setting 될 때까지 유지하도록 해준다 (그림 91).
3) 설면과 구개면
의치상의 제작과정에서 이미 의치변연의 두께는 결정되었다. 설면과 구개면의 모양은 전방을 향하게 하여 혀를 위한 최대의 공간을 부여할 수 있게 적절한 함몰부를 만들어 내도록 해야한다. 치경연은 외측면과 마찬가지로 다듬되 어떤 외형의 형성도 시도해서는 안된다. 치간구와 치은열구의 형성은 단지 혀를 자극할 수 있게 될뿐 아니라 때로는 발음의 결함을 일으킨다.
신상완 원장
۰ 신상완 치과 (임플란트·틀니연구소)
۰ 고려대 명예교수 www.sswden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