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탈뉴스임상특집] 신상완명예교수

6. 임플란트 틀니의 진단및 치료계획

2025-09-06     신상완 교수

4. 하악의 임플란트 틀니
최근 경제적인 이유와 기존에 Complete denture에 잘 적응하고 단지 하악의 complete denture의 유지및 지지력의 증가만을 위한 임플란트틀니(Implant Overdenture)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임플란트 틀니의 시술을 위해 미리 진단및 치료계획
1) 임플란트 종류의 선택
2) 임플란트의 숫자
3) 임플란트의 식립위치
4) 어태치먼트의 선택및 틀니에 부착시기등을 결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진단을 위한 자료인 CBCT 촬영및 구강 Scanning 전에 그 환자의 틀니를 먼저 제작하는 것이 좋고, 차선으로 임시 틀니가 제작된 후에 진단과정을 진행하여 data를 평가하는 것이 좋다(그림 8).

△ (그림 8) CBCT 촬영 및 Scanning 하기 전에 complete denture 혹은 임시의치가 제작되어 있어야 한다. 덴탈뉴스

그리고 CBCT, IntraOral및 Denture Scanning이 진행되어져야 한다. 이때 Denture의 여러 부위에 flowable resintag를 붙여주고 CBCT 촬영과 Denture Scanning을 진행해주어 CBCT data와 Scan date를 중첩 시에 기준점으로 활용해야 한다 (그림 9). 그리고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Top-down Concept에 의해서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SurgiGuide를 제작해야한다.

△ (그림 9) Denture에 Flowabe resin tag를 붙여준 후 CBCT 촬영 및 Scanning후 중첨시 활용하고 분석하여 임플란 트 식립을 위한 Surgi Guide를 제작하게 된다. 덴탈뉴스

1) 임플란트의 종류(그림 10)

△ (그림 10) 임플란트의 종류. 다양한 형태의 임플란트가 있으며 bone level, Tissue level, One body implant 등을 들 수 있다.덴탈뉴스

골유착성 임플란트가 개발된 이래로 수많은 종류의 임플란트가 소개되었다. 그 종류를 대별한다면 abutment와 연결되는 방식의 차이인 external과 internal 연결 type으로 나눌 수 있으며, 최근에는 internal connection type의 임플란트가 선호된다. 또 이차수술의 필요성에 따라 bone level과 tissue level type으로 나눌 수 있고 먼저 하악전치부 치조골의 두께에 따라 Regular, Wide, Mini type의 임플란트를 선택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Regular diameter implant가 일반적이나 치조골폭이 좁은 경우에는 Mini-diameter implant를 선택해야 한다. 그리고 Bone level 혹은 Tissue level을 선택해야 한다. Mini diameter implant는 one-body type이면서 Tissue level만 존재한다.
2) 임플란트의 숫자및 식립위치
임플란트는 mental foramen 전방방에 2개의 임플란트가 일반적이며, 식립위치는 견치부위가 전략적으로 유리한 부위이다(그림 11).

(그림 11) 2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할 경우 견치부위기 가장 선호되는 위치이다.덴탈뉴스


신상완 원장
۰ 신상완 치과 (임플란트·틀니연구소)
۰ 고려대 명예교수 www.sswden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