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탈뉴스특별기획] 김영진 박사의 마약과 금연
16. Resveratrol과 AhR과의 친화성
경쟁적 길항제로써의 resveratrol과 AhR과의 친화성은 Ah보다 100배나 강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resveratrol이 얼마나 효과적인 다이옥신류의 차단제인지 보여주고 있다. AhR 리갠드에 의한 심혈관 질환의 발생기전중의 하나는 정상적인 혈관 수축작용 이 방해를 받음으로써 발병되는데 이러한 경우에 resveratrol의 작용인 혈관 이완효 과로 이를 예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resveratrol은 lipoxygenase의 생산과 throm boxane B2형성을 억제하고 LDL산화를 방지하며 과립구와 단핵구가 혈관내피세포에 부착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효과도 발휘한다. 즉 심혈관계 보호효과에 더하여 항암제 투여로 야기되는 각종 부작용에 대한 방어효과까지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sir2이라고 하는 탈아세틸효소를 활성화시키며 퀴논환원효소(QR1)와 사이클로옥시제나제(COX)를 억제하여 결과적으로 노화를 방지하고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이처럼 resveratrol은 흡연이 야기하는 면역계또는 심혈관계 질환 등 건강상의 위해작용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담배연기중의 Aryl hydrocarbon 의한 골형성 저해작용도 방지한다. 즉 골형성과정중의 세포증식과 골 모세포의 분화단계에서 이를 억제하는 작용을 차단하여 골약화증에 대한 예방효과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 의약품으로써의 정제나 합성이 이루어지지 않고 농축된 제품만이 건강 식품으로 판매되고 있을 뿐이다.
16. Resveratrol과 AhR과의 친화성
Resveratrol은 1940년 ‘미치코 타카오카’가 헬리보어의 뿌리에서 분리하였으며, 1963년에는 호장근 뿌리에서 분리되었다. 레스베라트롤은 1992년 와인이 심혈관계 질환에 좋은 효과를 가진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트랜스레스베라트롤은 포도나무에서 곰팡이의 침입에 대항하여 생산된 항균물 질로, 주로 포도의 껍질, 씨앗에 많이 발견된다. 각각의 품종, 지역, 그리고 얼마나 곰팡이에 노출되었느냐에 따라 포도껍질에 함유하고 있는 레스베라트롤의 양은 다르다.
와인에서의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포도의 껍질이 와인발효 단계에 오래 있을수록 많다. 식품에 따라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큰 차이가 난다. 적포도주는 포도의 품종에 따라 0.2~5.8 mg/l 정도의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하며, 백포도주에는 제조 과정상 포도껍질이 발효전에 제거되어 레스베라트롤을 훨씬 적 게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머스커딘 품종의 포도가 가장 많은 레스베라트롤을 포 함한다고 하고, 이 품종으로 만든 적포도주와 백포도주는 40mg/l의 레스베라트롤 을 포함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었지만 번복된 예가 있다. 와인과 경쟁할만한 식품으로는 땅콩이 있고, 이중 땅콩새싹이 가장 훌륭한 공급원으로 알려져 있다.
싹이 나기 전의 땅콩은 품종에 따라 2.3~4.5μg/g의 레스베라 트롤을 함유하나 발아가 된 후에는 11.7~25.7μg/g 을 포함한다. 최근에 밝혀진 바로는, 특수한 방식으로 재배한 땅콩새싹에는 많게는 580μg/g의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디열매도 레스베라트롤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영양제로 판매되고 있다. 코코아 가루, 초콜릿 등도 미량의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7. 세계 금연의 날 (5월 31일) 포스터
세계보건기구는 매년 5월 31일을 금연의 날로 정하고 범세계적인 금연운동을 장려하고 있다. 금연의 날 포스터는 흡연이 질병과 빈곤과 죽음의 톱니바퀴임을 보여주 고 있다. 우리나라의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 공단에서도 세계 금연의 날에 맞추어 범국 민적인 금연운동을 전개해 나가고 있으며 2015년 초의 담뱃값 인상으로 조성되는 국민건강증진기금으로 금연진료를 건강보험 급여화하고 금연자나 금연진료 의료기관의 실적에 따라 인센티브를 제공하도록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인용문헌:치과처방의 완성(대한민국학술원선정 교육부지정 2020 우수학술도서)
김영진 박사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상근 심사위원 역임
• 보건복지부장관 위촉 금연진료의료인 교육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