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이식 전략과 덴티움 제품 활용 노하우 공유
[덴탈뉴스=김선영 기자] 덴티움이 지난 11월 16일 COEX Auditorium에서 개최한 ‘2025 Easy Bone Graft Consensus’가 500여 명이 넘는 치과의사가 참석한 가운데 마무리됐다. 특히 약 80여 명의 중국 치과의사가 함께 참여해 국내외에서 높은 관심을 받았다.
정종혁 (경희치대) 교수의 좌장으로 진행된 첫 번째 세션에서는 ‘피할 수 있으면 피하자’를 주제로, 해부학적·보철적 제약 속에서도 불필요한 이식을 줄이는 전략이 제시됐다. 먼저 이중석 (연세치대) 교수는 Membrane과 Pin을 활용한 최소한 골이식 전략을 제시하며 GBR 예측성을 높이는 임상 기준을 소개했다.
임상철 (미사웰치과) 원장은 bright Implant Tissue Level을 활용해 좁은 골폭에서도 얇은 직경 임플란트를 적용해 골이식을 최소화하는 다양한 전·구치부 케이스를 공유했다. 마지막으로 정성민 (덴티움치과) 원장은 임상가이자 제품 개발자로서의 관점을 더해, bright Implant 기반 최소침습 케이스와 Regeneration 제품의 개발 히스토리·특징, 그리고 Easy Bone Graft 컨셉이 반영된 임상례들을 소개하며 세션을 마무리했다.
두 번째 세션은 “피할 수 없다면 최소화하자”를 주제로 김기덕 (연세치대) 교수가 좌장을 맡아 최소한의 제품 사용으로 술자와 환자 모두의 부담을 줄이는 최소침습 프로토콜이 공유되었다. 첫 연자인 박정철 (연세굿데이 치과) 원장은 OSTEON™ Xeno Collagen과 Collagen Graft를 활용한 GBR 임상 적용법을 제시하며, 실제 케이스 중심의 술식 가이드를 전달했다. 조영단 (서울치대) 교수는 Collagen Graft와 Filler를 이용한 연조직 재생 전략을 소개해 연조직 볼륨과 안정성 확보 방안을 공유했다. 마지막으로 박병규 (서울필치과) 원장은 다수 케이스에서 bright Implant를 활용한 최적화 전략을 공유하며, 임플란트 디자인 특성에 따른 식립 기준과 Regeneration 제품 조합 시의 임상적 판단 포인트를 제시하며 마무리하였다.
마지막 세션에서는 “해야만 한다면 확실히 하자”를 주제로 설양조 (서울치대) 교수가 좌장을 맡아 고난이도 케이스 및 합병증 대응 전략을 심도 있게 다루었다. 첫 연자인 한승민 (서울이촌치과) 원장은 유형별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프로토콜과 재발 예방 전략을 제시하며 임플란트 유지관리의 방향성을 제안했다. 김성태 (서울치대) 교수는 고령·고난도 환자를 위한 예측성 높은 진료 전략을 소개하며, 환자별 리스크 기반 술식 선택 기준을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변수환 (한림대성심병원) 교수는 상악동 Trouble 발생 시 OSTEON™ Xeno Collagen과 Collagen Membrane을 활용한 해결 전략을 제시하며 리스크 관리와 술식 안정화를 위한 실제 임상 팁을 제공하며 모든 강연이 마무리되었다.
이번 컨센서스는 덴티움 재생·골이식 제품군을 기반으로 임상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술식 전략과 제품 연계 프로토콜을 공유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실제 진료 현장에서의 실효성을 크게 강화한 점이 특징이다.
전시장에서는 덴티움의 Regeneration, bright Implant, bright CT, bright Simple 등 재생 및 연계 제품군을 한 자리에서 경험하고, 신제품을 체험할 수 있는 실사용 중심 존이 마련됐다.
특히 OSTEON™ Xeno Collagen, Collagen Graft x1D, bright Implant Tissue Level 등을 활용한 실제 케이스 기반 전시 구성이 참가자들의 이해도를 높였다.
덴티움 관계자는 “Easy Bone Graft Consensus는 실제 임상에서 술식의 안정성과 예측성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 지침을 공유하는 플랫폼”이라고 말했다.
한편, 덴티움은 11월 20~21일 방콕에서 ‘Dentium World Symposium 2025’를 통해 bright Implant를 기반으로 한 Sinus Simple, Easy Bone Graft 개념의 최신 임상 지견과 혁신 제품을 선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