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된 지불체계에 대응한 의료전달체계 실험
강명신교수의 The New York Times 읽기
지난 호에 이어 ▶
2012년 4월부터 2013년 말까지 초기 결과는 놀라울 정도였다.
기준치보다 2000만 달러 이상을 절감한 것이다. 전자의무기록 자료를 분석해 고위험환자들을 찾아내고 이들에 집중했다.
병원에 내원하지 못하는 환자들의 집으로 왕진을 갔다. 의사와 연락이 어려운 사람들에게는 휴대전화도 지급했다. 예방진료에 중점을 두었다.
환자들에게 식이조절이나 생활습관의 변화를 권해서 예방 가능한 문제에 미리 방책을 세웠다. 조절이 안 되는 당뇨환자를 위해서는 개인별 진료 계획을 세웠다.
최근 입원했던 환자들에게는 최대한 빠른 시기에 추적검진 약속을 만들어서 회복이 제대로 되도록 했다. 이렇게 해서 비용절감은 물론 환자들의 건강을 개선했고, 당뇨가 조절된 환자수가 11.8% 늘어났으며 백신을 접종한 환자 수도 12.2% 늘어났다.
현재 미국에는 360개가 넘는 ACO 조직이 케어하는 메디케어 등록자 수가 530만 명에 달한다. 몇 억 달러의 비용절감을 이뤄내고 있다.
폴 크루그먼이 말하는 메디케어의 기적에 당연히 이 내용도 들어간다.
당장 재정적자가 치솟고 큰 재정난이 도래할 것이라고 예산삭감을 요구한 쪽이 틀렸다는 것이 입증됐다.
예상한 심각한 재정위기는 연기됐고, 의료비용의 저하가 경기부진 탓이 아니라는 것이 메디케어의 비용절감으로 반증됐다. 영리보험사를 통해서도 일어나고 있어 일각의 보수주의자들은 민영화가 답이라고도 하지만 실상은 블록버스터 신약이 없어서 약제비 쪽 절감이 크다고 한다.
그리고 반대파들이 주장한 보험료의 대폭 인상도 아직 일어나지 않았고 오히려 동결이나 인하를 추진하는 주도 있다고 한다.
하여간 의료행위의 양이 아닌 가치에 보상하는 지불시스템에 대응해 효과적 전달체계에 대한 실험을 하고 있으니 지켜볼만하다.
강명신 교수는 연세대 치대를 졸업했다. 보건학박사이자 한국의료윤리학회 이사다. 연세대와 서울대를 거쳐 지금은 국립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뉴욕타임즈에 실린 의학 관련 기사를 통해 미디어가 의학을 다루는 시선을 탐색하는 글로 독자를 만나고 있다.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