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전문직의 역사와 미래 (1)

전문직의 가장 큰 특징은 독점적 지식

2016-11-07     강신익 교수

본 지는 수회에 걸쳐 강신익 교수의 치과전문직의 역사와 미래, 치과의사의 전문직업성과 윤리에 대해 강신익 교수의 플랫폼이라는 코너로 게재할 예정이다. 이 기고를 통해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함께 내다보는 플랫폼이 되길 바란다 (편집자주)

 

오늘날 전문직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에 대한 논의는 그다지 활성화되고 있는 것 같지 않다. 이따금씩 여론의 눈총을 받는 선정적 기사들 인해 형성된 부정적 이미지 외에 우리의 사회 조직 속에서 그들이 하고 있고 해야 할 역할에 대한 논의는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이 두 가지 접근법은 ‘이데올로기’와 ‘기능’이라는 초월적 가치를 근거로 하고 있으며 전문직이 형성되어 온 역사적 맥락을 도외시하고 있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이 글은 이러한 전문직 논의의 한계를 다소나마 극복해 보려는 의도로 씌어졌다. 전문직의 가장 뚜렷한 특징을 들라고 한다면 그것은 아마 그들만이 가질 수 있는 독점적 지식을 그 토대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의사는 의학 지식을, 변호사는 법학 지식을, 성직자는 신학 지식을 독점한다.그러나 치과 전문직의 경우 이러한 지식체계에 대한 규정이 다소 애매함을 발견하게 된다. 그들이 독점하고 있는 지식체계를 부르는 이름에 있어서도 통일된 것이 없다.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치의학’이란 이름으로 불리고 있지만, 전문인들 사이에서도 그 이름에 대해서는 다양한 이견이 존재한다. 그래서 경우에 따라서 치학, 치과학, 치과의학, 구강의학, 구강학 등 다양한 이름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름들 속에는 나름대로 치의학의 특정 성격을 강조하려는 의도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을 의학과의 관계를 기준으로 나누어 보면, 치의학, 치과의학, 구강의학 등은 치과가 의학의 한 특수 분야임을 인정하는 위에 그것이 다루는 분야에 대한 이해의 정도에 따라 붙여진 이름들이며, 치학, 구강학 등은 의과와는 구분되는 치과만의 독특한 성격을 강조하기 위해 만들어진 말들이다.

치과학이란 말은 이와는 다소 다른 연원을 가지는데, 이는 치과가 안과나 이비인후과와 같은 의학의 한 분과임을 은연중에 내비치는 의도를 갖는다. 의과에서 각 전문과를 부를 때 내과학, 정형외과학 등으로 부르듯이 이 말 속에는 치과도 그러한 전문 분야 중의 하나일 뿐이라는 뜻이 들어있다.

의과와의 관련성 외에도 치의학이 다루는 분야에 대한 이해를 기준으로 위 말들을 분류해 보면, 치의학, 치학, 치과학, 치과의학, 등은 치아가 중점 대상임을 그 말들 속에 분명히 하고 있으며, 구강학, 구강의학 등은 그 대상을 치아 외에도 구강조직으로 확대해서 해석하려는 의도가 들어있다.

구체적인 부분에서는 다소의 상위가 있을 수 있지만, 대체적으로 전자는 치의학을 의학과 구분되는 별도의 분야로 인정하려는 의도를 가지는 반면, 후자의 말들은 의학의 큰 테두리 속에 치의학을 위치시키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서 드러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용어들이 의도하는 바가 치의학의 분리 독립이든 의학에의 통합이든지에 관계없이 오늘의 치의학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그것이 의학과 가졌던 역사적ㆍ사회적 관계를 먼저 따져보지 않으면 안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글이 의도하는 바는 바로 이러한 치의학의 분리 독립에 관계된 역사적ㆍ사회적 함의를 밝혀보려는 데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이, 기록된 사료의 연대기적 나열이나 단순한 재구성만으로는 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이 글의 후반부에서 드러나겠지만, 치과전문직의 형성 과정과 그 결과는 그것이 일어났던 사회의 역사적ㆍ문화적 환경에 따라서 매우 커다란 변이를 보인다.
이 글에서는, 치의학의 전문화 과정 professionalization을 일반 의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의학 일반이 가지는 전문성과 치의학이 주장하여 획득한 일반 의학과 구분된 전문성을 비교 검토한 후, 그 과정에 관여한 것으로 여겨지는 여러 가지 요소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과정을 통해 확보된 치의학의 학문으로서의 전문성을, 그것의 사회적 기능을 설명하는 사회이론을 적용하여 검토함으로써 치과 전문직의 미래를 전망해 보고자 한다.

 

다음 호에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