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인구 17.2% 증가한 694만명

공단, 노인장기요양 보험 통계연보 발간… 요양기관인력은 34만 4천명

2017-08-21     김선영 기자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은 노인장기요양제도 시행 9주년을 맞아 2016 노인장기요양보험 통계연보를 발간하고, 장기요양보험의 주요 실적을 발표 했다.

2016년 65세 이상 노인은 694 만명으로 2012년 대비 17.2% 증가하였고, 신청자는 31.9% 증가한 84만 9천명, 인정자는 52.1% 증가한 52만명으로 나타났다. 인정자 증가율이 노인인구 증가율보다 34.9%P나 크게 증가한 것은 지속적인 등급 인정범위 확대 정책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인정등급별 인원을 보면 지난해 2016년도 기준 장기요양 보험 인정자는 52만 명의 각 등급별 인원구성 현황은 1등급 40,917명, 2등급 74,334명, 3등급 185,800명, 4등급 188,888명, 5등급 29,911명이었다.

장기요양보험 급여실적은 2016년 말 기준 장기요양보험 총 연간 요양급여비(환자부담금+공단부담금)는 5조 52억원이었고, 공단부담금은 4조 4,177억 원으로 공단부담률은 88.3%이었다. 급여이용 수급자 1인당 월 평균 급여비는 1,067,761원으로 전년대비 1.0%증가하였고, 급여 이용수급자 1인당 월평균 공단 부담금은 942,415원으로 전년대비 1.2%증가했다.

유형별 공단부담금현황을 보면, 공단부담금 4조 4,177 억원으로 전년 대비 11.0% 증가했다. 이 중 재가급여는 2조 1,795 억원으로 전체대비 점유율이 49.3%, 시설급여는 2조 2,382 억원으로 50.7%를 차지했다. 세부 유형별로 재가급여는 방문요양 공단부담금이 1조 6,076억 원으로 가장 높았고, 시설급여는 노인요양시설에 지급액이 1조 9,844억 원으로 가장 많았다.

장기요양기관 인력현황을 보면, 2016년 장기요양기관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는 313,013 명으로 전년대비 6.2%증가했다. 특히, 의사는 2015년 1,415 명에서 2016년 1,683명으로 18.9% 증가했다.
장기요양기관 현황은 지난 2016년말 장기요양기관은 19,398개소를 운영 중에 있으며 재가기관은 14,211개소(73.3%), 시설기관은 5,187개소(26.7%)로 나타났다. 전년대비 재가기관은 10.0%, 시설기관은 2.0% 각각 증가했다.

시도별로 보면 장기요양기관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도로 재가기관 2,963개소, 시설기관 1,599개소를 보였다. 두 번째로 많은 지역은 서울로 시설기관수는 2016년 기준 531개소로 경기도 시설기관수의 33.2% 수준이다.

또한, 2012년 대비 2016년 기준 증감 현황을 살펴보면 재가기관은 32.4%, 시설은 19.9% 증가하여 기관 인프라는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요양보험료부과액을 보면, 2016년 장기요양보험료 부과액은 3조 916억 원으로 직장보험료는 2조 5,943억 원(83.9%), 지역보험료는 4,973억 원(16.1%) 이었다. 세대당 월평균보험료(개인부담기준)는 6,333원을 부과 하였으며, 1인당 월평균보험료는 2,953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2016년 장기요양보험료 징수액은 3조 916억 원으로 누적징수율은 99.6%를 달성했다. 직역별로 나누어 보면, 직장 징수율은 99.8%, 지역징수율은 98.6%를 보였다. 어려운 경제여건 속에서도 2015년보다 0.5%p 높은 징수율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