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조직공학·재생의학융합워크숍…Biotooth 제작 위한 최신기술소개

제6회 치과-조직공학·재생의학융합워크숍(대회장 권일근)이 지난 8월 25일 경희대치과병원 대강당에서 열렸다.<사진>

한국조직공학·재생의학회의분과조직인 조직공학재생치의학연구회가 개최한 이번 워크숍에서 치과연구분야의 연구자들이 참석해 3D 프린팅과 줄기세포를 포함한 ‘치과 조직공학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치과조직 공학과 재생 치의학분야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어졌다.

첫번째 세션은 ‘Tissue Engineering & Regenerative Medicine’을 주제로 윤경식(경희대) 교수가 국가재생의료기술지원사업에 대한 설명과 향후계획을 소개했다.

이어 허동녕(펜실베니아 주립대) 박사가 치과조직공학에서의 3D 프린팅적용방안에 대해 강의했다. 변준호(경상대) 교수가 PCL기반생체재료를 이용한 구강악안면골조직재생연구를, 이정우(경희대 구강악안면외과) 교수가 3D simulation과 printing 기술의 구강악안면재건 이용방안을 소개했다.

두 번째 세션은 ‘Enabling Technologies’를 주제로 한세광(포항공대) 교수가 smart photo medicine을 이용한 새로운 진단과 치료기술을 소개했다.

심인경(울산대) 교수는 다양한 난치성질환 해결을 위해 세포시트 공학기술도입에 대해서 강의했다. 이연희(경희대) 교수는 새로운 치료기술로 exosome을 소개하고 현재의 연구 및 기술개발연구에 대해서 발표했다. 아울러, 김진홍(오스템) 팀장은 치과 3D 스캐너의 최신기술과 동향을 소개했다.

특히, 이번 세션은 치과분야에서 생소한 새로운 연구 및 기술 분야가 소개되어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세 번째 세션에서는 ‘Biological Studies in Dentistry’를 주제로 김은정(연세치대) 교수가 최근 각광받고 있는 Biotooth 제작을 위한 최신기술을 소개했다. 문호진(경희대) 교수는 골조직 재생을 위한 macrophage 연구내용을 주제로 강의했다.

이번 워크숍을 통해 대학과 산업체에서 참석한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간의 생산적인 논의와 협업이 제안되어 연구자간 시너지효과를 만드는 계기가 됐다.

권일근 대회장은 “치과분야에서도 3D 프린터와 임플란트 관련 기술 조직공학을 이용한 연구가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았다”면서 “구강악안면분야의 재생연구들이 최종 목적인 임상적용을 위해 이번 워크샵이 조직 공학에 관련된 치과분야연구자들의 지식의 장이 되고 새로운 아이디어나 연구의 초석이 될 수 있는 자리가 됐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