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탈뉴스=홍혜진 기자] (사)한국치과의료기기산업협회(회장 안제모, 이하 ‘치산협’)는 지난 10월 23일부터 26일까지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DenTech China 2025(중국 상하이치과의료기기전시회)’에 한국관을 구성·참가해, 한국 치과산업의 기술력과 브랜드 경쟁력을 선보였다.이번 전시회는 1997년 최초 개최 이후 28회를 맞이했으며, 약 60,000㎡ 규모의 전시공간에 900여개 기업이 참가, 140,000여 명이 방문하는 등 아시아를 대표하는 치과전시회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올해는 디지털 덴티스트리, 심미·재료 분야,
[덴탈뉴스=김선영 기자] 사우디 국제 치의학 컨퍼런스 전시회(SIDC Riyadh 2026) 가 2026년 2월 5일-7일까지 3일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프론트전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사우디아라비아 치과의사회 (Saudi Dental Society)가 주최하는 SIDC Riyadh 2026는 중동 최대규모 시장인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개최되기에 관심이 집중된다. 37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SIDC는 단순한 전시회를 넘어 중동에서 가장 큰 치과 시장 진출의 결정적 기회를 제공하는 비즈니스 플랫폼이라 할 수 있다. 사우디 치과학회(Sau
[덴탈뉴스=김선영 기자] 브라질은 세계에서 가장 큰 치과 시장 중 하나다. 브라질 치과협회(CFO)에 따르면 최근 몇 년간 연간 매출은 약 380억 헤알(약 73억 달러)이다. 이는 보건 산업에서 10년 연속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한 유일한 분야로, 세계 구강위생 시장 4위에 해당한다. 이러한 성장은 국민들의 구강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와 직결돼 있다. CFO 조사에 따르면, 브라질인의 90%는 정기적인 치과진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인구의 72%는 매년 최소 한 번 이상 치과를 방문한다고 응답했다.# 치과임플란트치료 연간 약
[덴탈뉴스=김선영 기자] 이집트의 치과 시장규모는 2024년부터 2029년까지 연평균 11.4%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2029년에는 669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의료 관광의 증가에 따라 더욱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치과 기기및 치과용 시멘트 포함 소모품 시장은 연평균 11.4% 성장해 2029년에는 5440만 달러 규모에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 이 중 치과용 시멘트는 약 2130만 달러로 추산되며, 이는 전체 기기와 소모품 시장의 39%를 차지한다. 이에 따라 치과용 시멘트및 기타 보철 재료에 대한 수요가 시장
[덴탈뉴스=김선영 기자] 베이징, 중국 – 한국 치과 산업이 지난 베이징에서 막을 내린 제29회 Sino-Dental 2025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위상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이번 전시회에서 한국 기업들은 총 251건의 활발한 상담을 통해 905만 6천 달러(약 124억 원)의 상담액을 기록했으며, 이 중 731만 3천 달러(약 100억 원)가 실제 계약 추진으로 이어지는 성과를 보였다. 특히, 현장에서는 44만 1천 달러(약 6억 원) 규모의 계약이 즉시 체결되어 한국 제품의 현지 시장 내 뜨거운 인기를
[덴탈뉴스=김선영 기자] 제29회 ‘중국북경치과설비및 기술전시회 (Sino Dental 2025) (Sino Dental 2025)’ 가 지난 6월 9일(월)~12일(목) 까지 4일간 중국 북경 CNCC (China National Convention Center)에서 개최됐다. Sino Dental 2025는 매년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되고 있는 중국및 아시아 최대의 치과 설비 및 재료, 기술에 관련한 중요한 국제전시회로 전 세계의 유명한 치과산업 전문가및 제조업체, 기업들이 참가하여 치과산업분야의 새로운 기술과 혁신적인 제품과 치
[덴탈뉴스=김선영 기자] 세계 최대 치과산업 전시회인 IDS 2025(International Dental Show)에서 한국 치과의료기기 산업이 102개사 규모로 참가하며, 세계 시장 한복판에서 ‘K-덴탈’의 위상을 뚜렷하게 드러냈다. 특히 한국관은 전년도에 이어 쾰른메쎄 전시장 3.2홀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글로벌 바이어들의 시선을 단숨에 끌어모았다.2년마다 열리는 IDS는 전 세계 치과계가 한자리에 모이는 최고 수준의 전문 전시회로, 올해는 3월 25일부터 29일까지 5일간 독일 쾰른에서 개최됐다. 이번 전시회에는 61개국
세계에서 가장 급성장하고 있는 치과 컨퍼런스이자 전시회인 AEEDC Dubai는 매년 UAE 두바이의 Dubai World Trade Center(DWTC)에서 개최되며 올해도 어김없이 제19회 AEEDC Dubai 가 지난 2월 4일부터 6일까지 개최됐다.
[덴탈뉴스=김선영 기자] 세계 최대 치과기자재 전시회인 IDS 2025가 내년 3월 25일부터 29일까지 독일 쾰른에서 개최된다. 독일치과기자재산업협회(VDDI)의 마쿠스 하이바흐 대표와 쾰른메쎄의 마쿠스 오스터 부사장은 IDS 2025가 치과 산업의 글로벌 네트워킹 중심지로서 최신 기술과 제품을 경험할 기회를 제공할 것임을 강조했다. 하이바흐 대표는 “IDS 2025는 치과계의 혁신 기술과 심미적 트렌드를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이번 전시회의 중요성을 설명했다.이번 IDS 2025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덴탈뉴스=김선영 기자] 한국 치과의료기기 기업들이 2024년 상하이에서 개최된 DenTech China 전시회에서 약 11,440,000 달러의 계약 추진액을 기록하며 성공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이는 1년 전 성과인 10,037,000 달러에 비해 증가한 수치로, 한국 치과산업의 해외 시장 입지 확대에 중요한 발판이 될 전망이다.이번 DenTech China 2024 전시회는 25개국에서 900여 개사가 참여하고 3,000개 이상의 부스로 구성되었으며, 국가관으로는 독일, 미국, 한국이 자리잡았다. 118개국에서 약 130,000
[덴탈뉴스=홍혜진 기자] (사)한국치과의료기기산업협회(회장 안제모 이하 치산협)는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2024 Dental Expo의 한국관에 참가한 한국기업들이 이번 전시회에서 약 9,751,000달러의 계약 추진성과를 올린 것으로 전해졌다. 러시아 및 CIS 지역(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독립국가협동체) 최대 규모의 치과전시회로 알려진 2024 Dental Expo는 27개국에서 850여 개의 기업이 2,000개 이상의 부스 규모로 참여하고, 총 25,412명의 방문객이 참관했다.K
글로벌 헬스케어의 미래를 제시해 온 독일 뒤셀도르프 ‘MEDICA 2023 (메디카)’ 전시회가 11월 13일 – 16일에 83,000명이 참가했다. 전시회 방문객 해외비중은 75%로 집계돼 진정한 국제 전시회의 위상을 재입증했다.올해 전시회 역시 글로벌 메가 트렌드를 다루는 다양한 부대행사가 진행돼 관람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이번 전시회 주요 테마는 ‘디지털헬스’, ‘의료기술 및 의료기기’, ‘실험실 및 진단의학’, ‘소모품’, ‘물리치료기술’ 다섯개 분야였다.위 다섯가지 트렌드에 맞춰 약 500개의 포럼과 컨퍼런스가 진행됐다
KOTRA 카라치 무역관은 지난 8월 22일 주 카라치 대한민국 총영사관과 함께 ‘2023 한-파키스탄 바이오 메디덴탈 콜라보’ 웨비나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파키스탄 의료 및 제약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한국의 수출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웨비나 형식으로 진행됐다. 현지 전문 업체의 파키스탄 의료산업의 현황 및 진출방안, 의료기기 및 의약품 인증제도 소개가 이뤄졌다. 이번 행사에는 의약품, 치과 기자재, 의료기기, 디지털헬스케어, 의료서비스 관련 국내기업 20개사와 해외 전문 벤더사 10개사가 참여했다. 참석자들은 원료・완제 의약품
[덴탈뉴스=김선영 기자]중국의 2021년 치과용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40억 달러로 전년 대비 10.2% 성장했다. 치과용 치료, 진단 등을 위한 관련 의료기기 시장도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산업 컨설팅 기구인 GONYN(共研网)에 따르면, 2021년 중국 치과 치료 장비 및 기구의 시장규모는 21억 2000만 달러로 전체 시장의 53.1%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 자재·재료 시장은 13억 8000만 달러로 34.52%에 달한다. 치과용 엑스레이 기기를 포함한 진단기기 시장의 규모는 4억 9500만 달러로 전체 규모의
해외시장뉴스 -중국 흑룡강성 가목사 치과 산업전망현재 중국 치과는 민영 병원과 사립 진료소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중국 내 12만 2248개소의 치과병원이 있으며 이 중 흑룡강성내 치과 병원 수는 4033개에 달한다. 중국 치과 의료시장은 환자 수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고 잠재적 수요가 풍부하다. 특히 중장년층 치과 임플란트 수요가 높아 시장 인구 고령화 추세와 함께 고속 성장이 예상된다.중국의 치과는 종합 병원 내 치과, 공립 전문 치과병원, 민영치과병원 및 체인기관, 개별 진료소 등 4가지로 구분 할 수 있다.종합 병원 치
독일 쾰른 국제 치과기자재 전시회 ‘IDS 2023’이 2023년 3월 18일 성황리에 100주년의 막을 내렸다. 60개국 약 1,800개사가 참가했고, 162개국 120,000명의 무역방문객 이 관람했다.참가사와 방문객 규모 모두 코로나 전 최대 규모였던 IDS 2019 대비 80% 수준으로 회복한 수치이다.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도 선방하였던 IDS 2021과 비교하면, 참가사는 두 배 이상, 방문객은 무려 다섯 배 이상 성장했다.IDS 2023의 눈부신 성공은 업계에서의 IDS의 역사와 위상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는 계기였다
폴란드 치과 의료서비스 시장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까지 연간 5~7%의 안정적인 성장률을 보이며 시장이 매년 꾸준히 성장해왔다. 예상치 못한 팬데믹으로 폴란드 치과 의료서비스 시장은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산업 중 하나였으나 2021년부터 다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The Business Research Company의 ‘동유럽 치과 의료서비스 보고서 2022’에 의하면, 2021년 동유럽 전체 치과 의료 서비스 시장 규모가 약 120억 달러이며 폴란드의 시장규모는 약 11억 5000만 달러로 동유럽 시장의 9.6%를 차지하고 있다
스페인의 치과 임플란트시장 규모는 지난 2016년 3억 2,700만 달러에서 해마다 증가 해 2019년 4억 3,600만 달러까지 성장해 왔다. 하지만 코로나 여파로 2020년에는 전년 대비 63.3% 하락한 1억 6,000만 달러까지 하락했다. 2021년에는 전년 대비 42.5% 증가한 2억 2,800만 달러까지 회복됐다.따라서 스페인의 임플란트 시장은 오는 2026년까지 향후 5년간 스페인 치과용 임플 란트와 관련시장이 꾸준히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 스페인의 임플란트 수입규모(HS코드 9021.29 기준)는 2017년 1억 1,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매년 개최되는 세계 최대∙최고의 의료기기 산업전시회인 메디카(MEDICA)가 올해 KIMES 2022 전시장에서 ‘MEDICAlliance’를 선보인다. MEDICAlliance는 메디카를 주축으로 한 글로벌 의료 전시 연합체로, 남미, 중동, 동남아, 러시아, 인도, 중국 등 다양한 국가의 전시회가 소속돼 있다. 전시회 주최 측은 “이번 KIMES에서 전 세계 의료산업의 중심인 독일 메디카뿐만 아니라, 블루오션으로 주목받는 국가에서 개최되는 글로벌 전문 전시들을 모두 소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내 제품에 대
최근 ING 보고서는 2030년까지 예상되는 노인돌봄과 지원잠재력이 가장 높은 유럽 국가로 벨기에와 루마니아를 꼽았다. 루마니아는 인구 연령대가 점점 고령화되고 있으며 65세 이상의 인구비율이 2020년 19.3%에서 2029년 20.9%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며 국민들의 건강상태는 지역적으로나 세계적으로나 평균 미만이다. # 빠르게 성장하는 노인 돌봄 서비스 사업출산율은 2020년 1000명당 9.58명으로 서서히 감소하고 있는 추세며 사망률은 2020년 1000명당 13.2명으로 사망률이 가장 높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