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Denture에 attachment를 연결해 준 후의 임상과정(그림 27)특히 간접법에 의해서 Attachment가 Denture에 연결된 후에 일반적인 Complete Denture의 Delivery 시에 하는 과정과 같이 (1) Tissue side fitting 의 조절해주고, (2) 교합조정을 해주어야 한다.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3. Adjustment at Delivery Appointment1. Tissue side adjustment with Fit Checker2. Occlusal
2. Denture에 Attachment를 연결임플란트 위에 Overdenture용 abutment를 연결하고 Attachment의 Denture part를 Denture에 connection하는 방법은 치 료실에서 직접 연결해주는 직접법(Direct method)과 임플란트 위에 Overdenture 용 abutment에 Impression coping을 연결 한 후 인상 채득에 의한 기공실에서 연결해주는 간접법(Indirect Method)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림 23와 같은 장점과 단점이 있다. 1) 직접법(Direct m
4) Flap Surgery vs. Flapless Surgery최근에는 SurgiGuide는 Fixture의 식립 위치, 깊이, 방향까지 잘 제어해주기 때문에 쉽게 Fixture간의 평행관계를 맞혀줄수 있는 장점이 있기는 하나 모든 증례에 SurgiGuide를 이용한 Flapless Surgery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Flapless surgery의 장점(그림 20A)(1) 덜 침습적이며 수술시간 줄여주고,(2) 술 후 치유가 빠르고,(3) 환자가 편안하고,(4) 치은조직의 형태를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Flapless s
1. Overdenture증례의 implant 식립을 위한 SurgiGuide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식립시 도움이 되는 장치는 최 종 보철물의 치아의 교합면이 가상이나 실제로 완성된 후에 Topdown concept에 의해서 Fixture의 식립 위치, 각도와 깊이가 결정 되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Temporary 혹은 최종 complete denture와 치조골의 CT Scanning data에 의해 SurgiGuide가 제작되어져야 한다. Overdenture를 위한 implant fixture의 식립은 완성된 총 의치 및
2) 임플란트의 숫자별 식립 위치그러나 치조골의 협설폭이 좁은 경우에는 Mini-diameter implant를 선택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에는 4개의 Mini implant 를 식립하는게 좋다(그림 12). 심혈관질환이나 의과적으로 compromised patient는 One-body type인 Mini implant가 임플란트의 식립이 쉽고, 시간이 적게 걸리는 장점이 있다.3) Attachment의 선택(Stud, Bar, Magnet)임플란트 틀니(Implant Overdenture)의 유지및 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다양한
4. 하악의 임플란트 틀니최근 경제적인 이유와 기존에 Complete denture에 잘 적응하고 단지 하악의 complete denture의 유지및 지지력의 증가만을 위한 임플란트틀니(Implant Overdenture)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임플란트 틀니의 시술을 위해 미리 진단및 치료계획1) 임플란트 종류의 선택2) 임플란트의 숫자3) 임플란트의 식립위치4) 어태치먼트의 선택및 틀니에 부착시기등을 결정해야 한다.이를 위해서는 진단을 위한 자료인 CBCT 촬영및 구강 Scanning 전에 그 환자의 틀니를 먼저 제작하는 것이
2. 무치악환자의 골흡수 및 악간관계(안모)에 따른 보철수복의 선택기준[덴탈뉴스=신상완 명예교수] 치조골의 흡수가 적고 악간관계의 변화가 적은 경우 고정성 보철물, 치조골의 중등도 흡수와 경미한 악간관계의 변화일 경 우는 Hybrid fixed prostheses, 치조골 흡수가 심하고 악간관계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overdenture, 치조골 흡수가 아주 심하고 악간관계가 아주 심할 경우에는 상악 총의치, 하악 임플란트 오버덴춰가 추천된다(그림 3).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 보철물은 일반적으로는 크게 Fixed bridge,
I. 서론[덴탈뉴스=신상완명예교수 ] 노인인구에서 무치악 환자의 비율은 세계적인 산업화의 영향으로 급속히 줄어들고 있으나,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오히려 증가되는 추세이다. 2010년 우리나라 국민구강건강 실태조사(보건복지부)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인구에서 상하악 중한쪽 만이라도 무치악인 경우는 3.1~13.6%에 이르고 있다.따라서 무치악 환자의 증가는 총의치를 비롯한 무치악에 대한 더 많은 보철치료 수요를 초래하고 있으며, 아울러 삶의 질에 대한 욕구도 높아져 더 나은 치료에 대한 환자들의 바람도 커지고 있다. 그러나 무치악
* 첨상 후 교합조정구강 내에서 relining이 된 의치를 제거하여 잉여 부분을 제거하고 마무리한 후 첨상이 완료된 의치를 따뜻한 물에 Rebase hardner(경화제)를 첨가한 용액에 3-5분 담가두어 polimerization이 촉진되도록 해준다(그림 92).마지막 단계로 의치의 첨상이 완료된 후에는 항상 의치는 구강 내에서 교합을 점검하여야 하고, 약간의 교합조정이 필수 적으로 요구된다(그림 93). 2) Indirect denture relining(간접 의치첨상)인상재를 이용하여는 간접법 의치첨상 시에는 기존의 의치는
가철성 의치(removable denture)의 지지조직의 흡수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필수 불가결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시간경과에 따른 잔존 치조제의 흡수는 의치(denture)와 지지 조직간의 적합도를 떨어뜨려 결과적으로 의치의 유지와 안정이 점차 소실되는데, 이렇게 감소된 접합도 및 유지와 안정을 다시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의치상(denture base)에 첨상 (relining)이나 개상(rebasing)을 하게 된다.1. Denture relining Method(의치 첨상법)의치의 첨상방법은 구강 내에서 첨상을 완성하는
* 교합조정 및 삭제 규칙의 원리① 중심교합에서 하악 협측교두들과 상악 구개측 교두들은 그들의 대합되는 와와 만나며, 이 접촉은 occlusal vertical dimension을 지지해 준다.② 측방교합의 작업측에서 상악 협측교두는 하악 협측교두와 감합하며, 상악 구개측교두와 하악 설측교두와 감합한다.③ 측방교합의 균형 측에서 하악 협측교두는 상악 구개측교두와 접촉한다.④ 전방운동에 있어서 작업측 접촉은 상하악 전치들의 절단 간에 생기며, 구치부 접촉(만일 존재한다면)은 전방운동의 방향으로 치궁 형태가 만들어내는 각도에 의해 다양
3) 상하악 의치의 유지력 검사(1) 상악의치의 유지력 검사(그림 79 상)① 상악 의치를 강하게 후상방의 압력으로 위치시키고 입술과 볼의 조직들이 의치의 주변으로 안착되도록 한다.② Posterior palatal seal을 평가하기 위해 상악전치를 바깥쪽으로 당겨준다.③ 상악 의치의 좌우측 협측부위의 boder seal을 보기 위해 반대편 치아의 설측교두를 buccal side로 압력을 가하여 평가한다.④ 전치부위 border seal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만일 필요하다면 의치를 재위치시키고 오른손 엄지와 검지로 상악 절치를 잡고
2. 의치의 온성지금까지 모든 치아들을 배열했고 wax의 외형을 형성하고 마무리했다. 이제 이 wax는 치아들을 의치상과 연결시킬 acrylic resin으로 대체되어야 한다. 온성과정이 아크릴레진의 변형 및 왜곡을 최소한으로 유지하기 위한 저온(72℃에서 9시간 동안) 에서 시행되도록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색조 안정성이 있는 자가중합형 레진의 발전은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도움이 될 수 있다. 중합과정 동안에 열이 필요치 않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방법상에 있어서 아주 동일하다. ① 순수한 경석고를 의치상에 부어서 의치변연이 완전히
IV. 총의치에서 양측성 균형교합을 위한 도치배열의 수정교합기상에서는 작업 측의 working contact은 상하악 구치부 인공치아가 cusp to embrasure 관계가 되도록 해 준다(그림 69). 그런데 우리가 일반적으로 총의치에서는 교합기에서 도치배열시 작업측 비작업측이 동시에 닿아야 한다고 알고 있다.그러나 교합기 위에서는 Bilateral balanced occlusion의 개념으로 같이 닿도록 해주면 음식을 씹을 때 구강 내에서 작업측 잇몸이 더 눌리게 되어 balancing side에서 Premature conta
2. 의치시적(Try-in) 과정의치시적의 과정은 Lip form 및 lip support 정도(그림 63), 중심선 Orientation of the occlusal plane 교합평면(그림 64), 인공치 형태 및 크기, 인공치 배열에 대한 평가 및 수정과 환자의 의견의 청취및 참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교합평면을 평가할때 양쪽 pulip line과 Ala-tragus line과 평행관계에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교합평면이 기울어져 있을 경우에는 Magic sign pen 등을 이용하여 검게 칠해 주어 수정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II. 인공치아의 배열결정된 수직고경에서 하악과두의 최후상방위 관계를 기록한 centric jaw relationship이라고 불리는데, 이 관계로부터 다른 모든 관계들이 계측되기 때문이다. 이제 교합상을 인공치로 대치하게 된다. 대합되는 fossa에 최대한 감합되도록 치아를 배 열하게 되고 이런 관계를 centric occlusion이라고 부른다. Jaw relationship에서 Centric relation으로 부착한 모형의 교합상 에 centric occlusion으로 치아를 배열한 것이다.아래의 내용은 정상적인 전치관계를
4. 치은색의 결정인공치아의 색조뿐만아니라 치은(의치상)의 색도 선택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비교적 한가지 색을 주로 사용하지만 여러민족이 같이 사는 나라에서는 치은부위의 의치상 레진의 색을 개개인에 맞게 선택해야 한다(그림 56).5. 구치(소구치, 대구치)의 선택자연치의 교두는 폐구 시 비스듬하게 최대 감합위로 접근하면서 섬유성 음식을 찢는 데 용이하게 생겼다. 초기 치아접촉은 일반적으로 ipsilateral(작업측)에서 일어나며, 저작 stroke가 끝나는 시점에는 contralateral(비작업측)도 접촉하게 된다. 만일
I. 틀니를 위한 인공치아의 선택틀니를 위한 인공치아는 도재치아 또는 레진치아가 사용될 것인가를 우선 결정해야 한다.도재치아는 단단한 glazed된 표면을 가지며, 마모성이 강한 음식이나 clenching에 잘 견디며 용매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의치가 사용되는 동안 이런 성질은 저작의 효율을 지속시키게 한다.반면 acrylic resin teeth는 vertical dimension의 감소와 함께 마모될 수 있다. Resilience가 크므로 acrylic resin 치아는 교합력으로부터 하부연조직을 완충시킨다고 한다. 도재
* 상하악 악간관계(jaw relation record)의 임상채득방법a. 교합인기제의 위치를 공고히하기 위해 상하악 교합제 위에 V자 홈을 판다. 상악의 교합제에는 소구치부위에 양측으로 하나의 V자형 홈을 파야 한다. 하악의 교합제에는 두 개의 홈을 소구치부위에 양측으로 형성한다.b. 하악 의치상을 구강에 다시 넣고 의치상을 위치시키기 위해 양손의 검지를 협측 flange에 놓는다. 그 다음 하악이 최후 방위임을 확인하면서 환자로 하여금 침을 삼키면서 입을 다물라고 한다. 환자에게 입을 벌리라고 말한다. 이때 교합인 기제는 하악의
(4) Rest vertical dimension의 측정상악 의치상 교합제만을 삽입한다. 환자는 수직 위로 앉고 등을 의자에 기대선 안된다. 이 자세에서 Frankfort plane (안와의 최 하방점을 지나고 외이도의 최상방점을 지나는 면)이 수평을 이루어야 한다. 연하 후, 그리고 “S” 발음 혹은 “새색씨” 같은 발음을 한 후에 환자의 악골은 즉시 relax position으로 돌아간다. 아래의 방법들은 환자가 하악을 rest position으로 가져가는 데 이용될 수 있다.① 환자로 하여금 연하하고 긴장을 풀게 한다.② 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