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학회간 공동학술대회 턱관절 질환에 대한 체계적인 강의

턱관절 질환에 대해 총정리 할 수 있는 학술대회가 지난 18일 경희대 치과병원에서 개최됐다.<사진>

지난 2013년, 2016년에 이어 대한측두하악장애학회(회장 송윤헌)와 (사)대한턱관절협회(회장 이부규)가 공동으로 준비한 이번 학술대회는 ‘치과의사라면 모두 해야 하는 턱관절 질환의 진단과 치료’를 주제로 턱관절 질환의 이론부터 적용까지 일목요연하게 살펴보는 강의로 구성됐다.

첫 번째 세션은 ‘턱관절 질환, 우리 치과에서 시작하자’를 주제로 정재광(경북대 구강내과) 교수는 ‘턱관절 질환의 임상 검사 방법 총정리’에 대해, 이상화(가톨릭대 구강악안면외과) 교수는 ‘영상 검사에서 나타난 턱관절 질환, 놓치지 않고 발견하자’를 주제로 강의했다.

‘치과 치료 후 나타난 턱관절 질환의 관리’에 대해서는 권태훈(새한세이프치과) 원장이, ‘턱관절 물리치료와 건강보험의 적용’에 대해서는 진상배(메디덴트치과) 원장이 턱관절 치료에 있어 기초적인 부분까지 다뤘다.

두 번째 세션은 ‘금방 낫지 않는 턱관절 질환, 어떻게 하면 좋을까’를 주제로 턱관절 치료에 있어 보다 구체적인 치료 방법인 스플린트 치료 및 관절강세정술에 대해 안형준(연세대 구강내과) 교수와 팽준영(삼성서울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교수가 강의해 턱관절 치료에 대해 돌아볼 수 있는 시간이 마련됐다.

이어 송윤헌 회장의 ‘구강안면통증과 턱관절질환’, 이부규 회장의 ‘턱관절 수술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주제로 특별 강연도 진행됐다.

송윤헌, 이부규 회장은 “턱관절장애를 가장 잘 진료할 수 있는 의료인이 치과의사임에도 최근 많은 환자들이 치과가 아닌 타 진료과를 방문하고 있는 현실에 대해 치과가 턱관절장애 치료의 중심이 되고 자신감 있게 치과에서 턱관절을 진료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이 날 공동학술대회는 턱관절장애 및 구강안면통증에 관한 학술적 발전과 임상 술식 개발에 노력해 온 두 학회의 턱관절에 관한 최신 지견에 대한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