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CT의 보급으로 교정학에서도 CBCT는 중요한 진단도구다. 기존의 두부계측방사선사진에 비해 CBCT는 해부학적으로 진성의 3차원 재현물을 만들며, 두개골의 어떠한 부위도 시각화해 단면을 재구성할 수 있다.

신간 최신디지털세팔로 계측학은  3차원 CBCT를 이용한 두부계측, 중첩, 치조골 평가시 고려 해야 할 사항들을 다루고 있다. 아울러 진단과 치료계획수립의 중요한 부분인 두부계측의 최신임상사용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3D CBCT의 가능성들을 두부 계측과 통합하고 두부계측학내의 최신발전개념과 추이를 보여 준다.

두부계측학은 진단의 가장 중요한 열쇠다. 또한 치료과정과 결과에 대한 평가이며 교정기록의 필수 학문으로 모든 교정치료 환 자에게 적용될 수 있다.

이 책은 각 분석법의 계측점에 대한 다양한 정의부터 골격성,치성, 연조직의 측정항목에 대해, 정모및 측모두부계측방사선 영상에 대해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또한 기존의 골성과 연조직계측항목에서 기도에 대한 평가와 병소감별 등 두부계측 학의 활용범위를 확장해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3차원 CBCT 영상에서 2차원 두부 방사선사진을 추출하거나, 3차원 영상에서 직접 계측점을 찾고 측정하는 방법도 새롭게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상당 부분의 3차원 영상분석은 2차원 두부계측 방법을 토대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해석의 한계가 남아 있다. 2차원에서 3차원 두부계측으로 전환되면서 새로운 랜드마크와 측정항목이 규정되고 평가되 어야 한다.

이 책은 두부계측의 탄생에서부터 2차원 계측점과 계측항목의 발전, 3차원 CBCT로 의 적용까지 일련의 흐름을 충분히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문의 02-922-7080)

▲ 최신 디지털 세팔로 계측학
/ K athe r ine Ku la, A hmed Ghoneima 著 / 정도민, 안효원 譯
/ 김성훈 監修
/ 2020년 10월 10일 발행 / 대한나래출판사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