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은 진단을 위한 데이터수집과 분석, 최종치료 디자인, 치료계획, 치료과정예 측 등 치과임상전반에 응용되고 있다. 이 책은 디지털 장비들의 장·단점과 디지털 장비의 임상 적용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제 치과임상은 아날로그의 경험과 발전을 디지털기술을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꽃 피울 것이다. 주조치관수복에서 CAD·CAM 수복으로 크게 방향을 바꿨다. 그리고 지르코니아수복물은 CAM 없이는 손에 넣을 수 없다.

디지털 장비중 하나인 구강내 스캐너는 보철임상과정의 인상채득을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바꾸는 혁신적인 기기이다.
구강내 스캐너를 이용해 인상을 채득할 때는 CAD·CAM으로 보철물을 제작해야 한 다. 따라서 디지털 인상을 전제로 한 지대치형성은 스캐너의 특성에 맞는 형성이어야 할 뿐만 아니라 CAD·CAM 크라운 제작을 위한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그 첫 번째가 CAD·CAM 재료에 맞는 형성이고, 다음이 마진의 위치이다. 현재 구강 내 스캐너의 임상적 한계인 치은연하마진은 채득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지 만 이 또한 언젠가는 극복될 것이다. 구강내 스캐너나 디지털장비는 언젠가는 치과 임상의 필수가 될 것이다.

이 책은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이해를 돕는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구강내 스캐너를 이해할 수 있으며 제2장의 임상 편에는 다양한 치과 임상 분야 구강내 스캐너 활용 증례를 다루고 있다. 제3장은 구강내 스캐너를 활용하는 법을 담고 있다. 이 책을 통해 치과 디지털 장비 흐름을 파 악하고 디지털 치과임상컨셉을 잡는데 도움 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문의 02-922-0840)
 

구강 내 스캐너를 이용한 디지털 인상채득 -기초와 임상 Kazuhiro Hikita, Kazuyoshi Baba 編著 / 한금동, 최진 譯/ 2020년 11월 10일/대한나래출판사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