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60대 50대 순 기분 장애 많아···치과 여성환자 위한 배려 잊지 말아야
최근 5년간 기분 장애질환으로 진료받은 총 진료인원은 2016년 77만 8천 명에서 2020년 101만 7천 명으로 23만 9천 명이 증가했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6.9%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남성은 2016년 26만 5천 명에서 2020년 34만 5천 명으로 30.2%, 8만 1천명이 증가했다. 여성은 2016년 51만 3천 명에서 2020년 67만 1천 명으로 30.6%, 15만 8천 명이 증가해 여성이 남성보다 2배 많았다.
2020년 기준 ‘기분장애’ 질환 진료인원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 101만 7천 명 중 20대가 16.8%(17만 1천 명)로 가장 많았다. 60대가 16.2%(16만 4천 명), 50대가 14.4%(14만 7천 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20대 18.6%, 60대 14.8%, 50대 14.3%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는 6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16.9%로 가장 높았고 20대 및 50대가 각각 15.9%, 14.5%를 차지했다. 특히 9세 이하를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다.
박선영(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기분장애 중 가장 빈도가 높은 질환은 주요 우울장애며 주요 우울장애의 평생 유병률은 4.4%~30%로 알려진다. 대체로 여성에서 남성보다 2배 이상 빈도가 높다. 환자의 나이가 많아질수록 자주 재발하고 이환기간이 길어지므로 고령 여성에서 진료 빈도와 기간이 길 것으로 생각된다”면서 “최근 젊은 층에서 불안이나 우울장애의 빈도가 늘어나는 이유는 사회적 요인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고 추측했다.
한편 최근 발생하고 있는 의료인을 대상으로 하는 폭행도 우울장애의 일환으로 봐야 한다.
특히 치과마케팅은 여성환자를 위한 배려를 잊지 말아야 한다. 대기시간에 여성고객이 지루하지 않고 편안하게 기다릴 수 있는 지루하지 않는 시간으로 만들어 주는 것도 필요하다. 때문에 최근 개원하는 치과는 카페테리아를 별도로 마련한다. 이유는 환자를 위한 배려 중 하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