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O 학회 400여명 참석, 시오다마코타교수 최신지견 공개

대한인공치아골유착학회(회장 정문환 이하 KAO)가 지난 11일 서울 성모병원 지하1층 대강당에서 ‘2015 추계학술대회’를 열고, 임플란트 임상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최신지견을 조명했다. 종일강연으로 진행된 이번 학술대회는 치과의사세션과 치과위생사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됐으며 400여명이 참석했다.

인준 후 두 번째 치른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기초공학적 학술정보를 주로 전달하던 기존의 컨셉에서 다소 벗어나 대중화 된 주제 강연이 진행됐고 ,비회원의 참석률도 높았다.

학술대회내용으로는 세션Ⅰ에서는 안심할수 있는 상악동 수술에 대한 최신 지견을 주제로 △임플란트 술전의 통증과 공포조절에 대해서는 이덕원(경희치대) 교수가, △Use ofBMP-2 in sinus augmentation past, presentand future 에 대해서는 차재국(연세치대)교수가 강의했다. 차교수는 상악동 거상술은 골 양이 부족한 상악 구치부위에서 임프란트를 식립하기 위한 처치 방법으로 현재까지 높은 예지성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하고 하지만 상악동에 이식된 재료가 골 재생의plateau 에 도달하기까지 수개월 이상이 걸린다는 보고로 인해 이식된 재료의 골형성유도 단백질(Bone morphogenetic protein)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상악동 거상술시 BMP 사용의현주소와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세션Ⅱ에서는 임플란트 임상에서 겪는 문제점들에 대한 최신 지견을 주제로 이원섭(가톨릭의대 보철과)교수는 보철 최종단계에서 경험하는 식편압입(food impaction) 현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임상적 관점및 이에 대한 예지성있는 해결 방안에 대해 강의했다.

또한 김형준 교수는 “Osteonecrosia of the jaw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지만 MRONJ의 빈도는 치과치료와 연관되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이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와 대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인준 직후 학회를 맡으면서 KAO의 국제적 교류 역량 강화에 최대 역점을 두겠다던 정문환 회장의 공약에 따라 이번 학술대회에서부터 국제 세션이 마련된 대목도 눈길을 끌었다. ‘일본 최고 지성에게 묻는다’를 소주제로 한 시오다 마코토 교수(동경의과치과대학 임플란트학과)의 강연에서는 최근 일본의 임플란트 시술 경향을 되짚는 시간으로 마련됐으며, 컴퓨터가이드서저리를 중심으로 비수술 보철치료 방식에 대한 지견이 전달돼 호평을 받았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