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급여비용 총액 1조 5,896억 원으로 지난해 보다 575억 원 높아

 

‘치은염 및 치주질환’이 2019년에 이어 2년 연속 환자수와 요양급여비용 총액에서 1위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보건의료 빅데이터   2020년 외래 다빈도 질병 통계에 따르면 2020년 치은염과  치주질환자는 1,637만 명으로 2위를 차지했다. 이 수치는 급성 기관지염 환자수 1,113만 명에 비해 약 524만 명으로 1.5배 많은 수치다. 

2020년 요양급여비용 총액부문에서도 치은염과  치주질환의 금액이 1조 5,896억 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 금액은 급성기관지염 총액 5,328억 원보다 1조 568억원, 약 3배 가량 높은 금액이다. 

이는 환자수와 급여비용 모두 1위를 했던 2019년 당시에 비해 환자수는 358,106명 소폭 줄었지만 급여비용은 오히려 575억 원 늘었다. 

2004년 다빈도 질병 통계 8위였던 치은염과 치주질환은 2005년 5위, 2007년부터 3위, 2011년부터 줄곧 2위를 차지하다가 지난 2019년부터 가장 많이 병원을 방문한 질환에 올라섰다.

대한치주과학회는 코로나로 인해 전체 환자수가 줄었지만 총 급여비용이 증가한 만큼 심도 있는 치주 치료가 이뤄졌음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허 익 회장은 “최근 치주 상태가 코로나 19 감염의 중증 합병증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구강 내 세균 관리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는 사회적 인식 개선이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치주학회는 향후 잇몸의 날 캠페인과 건강강좌 등 대국민 홍보에 앞장서 국민이 올바른 구강관리 습관을 생활화하도록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