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환자 32,273명에 비급여 진료비 감면·본인부담금 일부 지원

장애인 환자들이 중앙센터로 보내온 손편지
장애인 환자들이 중앙센터로 보내온 손편지

“중앙 장애인 구강진료센터와 외부 후원기관의 큰 도움 덕분에 씹는 즐거움을 알게 되었어요.”

50대 기초생활수급자 미정씨(가명)가 서울대 치과병원(병원장 구영) 내 설치된 중앙장애인구강진료센터(센터장 금기연, 이하 중앙센터)로 보낸 감사 인사말이다.

미정씨는 “형편이 어려워 제때 치과 치료를 받지 못해 어금니는 모두 빠져버렸고, 중앙센터에 왔을 때 치아는 14개만 남아 있었다.”며, “더욱이 몇 해 전 유방암 판정으로 수술비까지 지출한 상황인지라 먹는 게 불편하더라도 남은 치아만으로 살아야겠다고 생각했었는데, 중앙센터와 외부 후원기관의 큰 도움 덕분에 미뤄왔던 치과 치료와 함께 틀니 제작에 필요한 비용까지도 지원받아 씹는 즐거움을 알게 됐다.

중앙센터 윤소라 의료사회복지사는 “저소득 장애인 환자는 경제적 부담으로 인해 참기 힘든 통증이 발생한 후에야 최소한의 치과 치료만이라도 받기 위해 중앙센터를 찾는 경우가 많다.”며, “진료비 감면과 지원으로 구강건강을 되찾은 환자와 보호자들로부터 감사의 마음이 담긴 손편지와 인사를 받을 때마다 더욱 최선을 다해야겠다고 생각하게 된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가 설치한 중앙센터는 2019년 8월 정식개소 후 2주년을 맞이한다.지금까지 장애인 환자 32,273명에게 밝은 미소를 선물하는 등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그 중에서도 12,087명은 장애인구강진료센터 사업을 통한 ‘비급여 진료비 감면 지원을 받았다. 미정씨처럼 경제적 부담으로 인해 치과 치료에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 장애인 환자 87명에게는 추가적으로 외부 후원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진료비 일부를 함께 지원하게 된다.

장애인 구강건강 증진과 치과진료 접근성 향상을 적극 실현하기 위한 보건복지부와 중앙센터 그리고 라이나전성기재단, 스타벅스커피 코리아, 국제로타리 3650지구·서울 남산로타리클럽 등 민간의 따뜻한 후원이 함께 이루어낸 결실이다.

 중앙센터는 권역 장애인구강진료센터(이하 권역센터)를 총괄・지원하는 기관으로서, 센터간 협력체계 구축, 장애인 표준 진료지침 확립, 장애인 구강진료 전문인력 교육 등 중추 역할을 담당 중이다.권역별로 14곳의 장애인 구강진료센터가 있다.

(좌부터)구영 서울대치과병원장,  중앙센터 유수연 교수, 금기연 중앙센터장
(좌부터)구영 서울대치과병원장, 중앙센터 유수연 교수, 금기연 중앙센터장

금기연 중앙센터장(치과보존과 전문의)는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중앙센터를 내원하는 장애인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는 것은 장애인 환자들의 진료환경이 얼마나 열악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보건복지부 및 각 권역센터와의 협력을 통해 전국 258만 장애인 모두가 환하게 웃으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중앙센터를 포함한 전국의 장애인구강진료센터에서는 보건복지부의 지원으로 장애인 환자의 비급여 진료비 감면지원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총액에 대해 기초생활수급자 장애인은 50%, 치과영역 중증장애인은 30%, 기타 장애인은 10%를 감면지원하고 있다.

(문의1522-2700)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