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훈 교수
김성훈 교수

경희대 치과병원 바이오급속교정센터 김성훈 교수가 환자의 치아 상태에 따라 부가적 장치가 많이 적용돼 다소 불편함을 감수해야했던 기존의 교정치료를 획기적으로 줄일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김 교수가  개발한 시스템은 ‘트위맥 프리스 크립션(TWEeMAC Prescription)’ 종합 교정치료시스템으로 정규림 명예교수와  안효원 교수와 함께 5년 이상 연구한 결과다. 

이번 연구는 SCIE저널인 Orthod Craniofac Research(IF 1.826)에 올해 발표됐고, 동시에 세계적인 교정전문회사인 독일 Forestadent사와 협력해 세계 각국의 식약청(FDA) 등록과 CE 인증까지 완료될 예정이다.

김 교수는 30여 년간 환자들에게 적용되어 온 교정치료 장치들의 장점과 단점을 분석해 환자별·치아별 맞춤형 브라켓들을 한 번에 적용할 수 있는 종합시스템을 개발했다.

김 교수의 ‘트위맥 프리 스크립션’ 시스템은 교정치료 시의 이러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환자의 각 치아마다 적합한 브라켓이 한번에 적용되는 종합시스템이다. 

또한, 치아의 안정적인 재배치와 장치의 최소화로 치아의 부담을 줄였다는 점에서도 인정받았다. 

김성훈 교수는 “바이오급속교정치료의 장점인 치아간 상호작용및 영구치 보존을 위한 뿌리 부분의 손상도 더욱 최소화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