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니스 보철 시스템의 workflow 및 임상 증례
하이니스 보철시스템은 Screw 유지형 보철방식이지만 인상채득과 기공과정이 단순하므로 기존 보철 제작 방식에 비해 보철물 제작의 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은 진료 시간의 단축과 보철물 제재작 비율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멘트 사용없이 간단히 구강 내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술자와 환자의 만족도가 매우 높은 시스템이며 Screw 유지형 보철방식의 특성상 유지보수가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이니스 보철 시스템의 유저인 장호열 원장의 임상증례를 통해 하이니스보철시스템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편집자주)
1. 하이니스 보철 시스템의 사용법
A. 하이니스 보철 workflow
하이니스 보철시스템의 전반적인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g.1)
수술중 혹은 인상 채득 시 Bone level implant에 하이니스 base abutment 를 35~40N의 권장 토크로 연결한다. 필자는 Micro-gap의 최소화및 풀림 방지를 위해 40N으로 체결하는 것을 가장 추천한다.
이후 모든 보철 작업은 abutment level에서 이루어진다.
진료실에서 인상 채득 시 scan abutment를 연결하여 구강스캔이나 러버인상을 채득한다. 기공실에서는 획득된 디지털데이터로 CAD 작업을 통해 크라운을 디자인한다.이후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milling 하고 link를 부착하여 하이니스 보철물제작을 완료한다.
임시치아제작이 필요한 경우 PMMA milling및 3D 프린팅 보철물제작도 가능하다. 치과에 delivery 된 하이니스임플란트 보철물은 screw 고정만으로 간편히 구강 내에 장착할 수 있다.
B. 하이니스 base abutment의 선택
하이니스 보철을 위해서는 base abutment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식립부의 위치 치은의 두께에 따라 base abutment의 직경 (Ø4.5, 55, 6.5)과 Cuff length (1~6 mm)를 결정한다.
Mini implant를 위한 Ø3.5 직경의 base abutment도 사용할 수 있다. Screw 유지형 보철 특성상 보철물의 margin을 치은연하부에 자유롭게 부여할 수 있다.
필자는 생체친화성이 높은 지르코니아로 emergency profile 을 부여하고 심미성을 확보하기 위해 구치부와 전치부 모두 subgingival 1~1.5mm에 margin을 설정하는 것을 가장 선호한다.
Base abutment와 link가 동시에 들어가는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base abutment top에서부터 대합치까지 occlusal clearance가 필요하다. (Fig. 2)
만약 occlusal clearance가 충분한 경우 regular base 시스템을 선택하고 충분하지 않은 경우 short base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Short base를 사용하면 CAD 프로그램상에서 25도까지 access hole을 꺾을 수 있기 때문에 angled crown 제작이 가능하며 특히 전치부에서도 screw-retained type의 하이니스 보철을 제작할 수 있다.(fig. 3)
C. 인상 채득
Base abutment에 scan abutment를 연결하여 구강 스캔과 러버 인상 모두 채득할 수 있다. Abutment level에서 인상을 채득하므로 간편하고 정확한 인상을 얻을 수 있다. 많은 케이스에서 모델의 제작없이 디지털 작업만으로 하이니스 보철물의 제작이 가능하므로 편의성이 매우 높다.
D. 기공실 과정
디자인 프로그램에서 디지털로 전환된 인상데이터와 하이니스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보철디자인작업을 시행한다.(Fig. 3)
이후 지르코니아 milling, sintering, finishing 등의 작업과정을 통해 제작된 지르코니아크라운에 하이니스 link를 연결하여 기공과정을 완료한다. 이때 Single case인 경우 Hexa link, Multi-unit case인 경우 Non-Hexa link를 연결한다. Multi-unit case에서 임플란트 경사도의 차이가 약 25도까지 제작 가능하다.
Abutment의 milling이나 customized abutment의 제작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기공과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E. 보철물의 장착
적합도, 인접면, 교합체크 등의 일반적인 보철물 조정과정을 거친다. 하이니스 크라운은 cement 사용없이 link screw를 25N의 final torque 로 고정한다. 정확도 높은 보철 제작이 가능하므로 짧은 보철물 조정시간이 소요되며, cement사용 및 제거과정이 생략되므로 체어타임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2. 하이니스 보철 임상 케이스
A. Single case (Fig. 5)
#16 bone level 임플란트에 40N으로 base abutment를 연결 후 Bite tray를 이용해 러버 인상을 채득 했다. 인상체를 기공소에서 model scanner로 디지털 전환 후 하이니스 보철 제작하였다. 진료실에 서 25N의 final torque로 보철물을 최종 delivery 했다.
B. Multi-unit case (Fig. 6)
#16, 17 부위의 발치 후 즉시 식립과 골이식을 동반한 상악동 거상 술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임플란트 식립 후 base abutment를 40N의 torque로 연결하였다.
6주 뒤 Intraoral scanner (Omnicam, 덴츠플라이 시로나)로 임플란트 인상을 채득하고 하이니스 임시보철물로 temporary loading 시행했다. 한 달 뒤 최종 지르코니아 보철물로 final loading을 시행했다.
지금까지 하이니스 보철 시스템의 workflow 및 임상 증례에 대해 살펴 보았다.
다음 편에서는 하이니스 시스템에서 디지털의 활용, 3D 프린팅, 즉시 로딩 등 좀 더 어드밴스한 내용을 다루고자 한다.
대전 장호열치과 대표원장
前 건양대병원 치과과장
건양대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교수
부산대 졸업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
중부치의학연구회 부회장
하이니스 교육센터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