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마니아 국민 건강상태 세계적으로 평균 미만 … 기대 수명은 75.8세
<루마니아 의료기기 산업전망>
최근 ING 보고서는 2030년까지 예상되는 노인돌봄과 지원잠재력이 가장 높은 유럽 국가로 벨기에와 루마니아를 꼽았다. 루마니아는 인구 연령대가 점점 고령화되고 있으며 65세 이상의 인구비율이 2020년 19.3%에서 2029년 20.9%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며 국민들의 건강상태는 지역적으로나 세계적으로나 평균 미만이다.
# 빠르게 성장하는 노인 돌봄 서비스 사업
출산율은 2020년 1000명당 9.58명으로 서서히 감소하고 있는 추세며 사망률은 2020년 1000명당 13.2명으로 사망률이 가장 높은 국가중 하나이다.
루마니아의 기대수명은 2020년 75.8세, 남성의 기대수명은 72.4세이고 여성의 기대 수명은 79.3세. 이 수치는 헝가리와 벨라루스의 수치와 유사하다.
루마니아는 의료 서비스를 포함한 가정돌봄서비스는 독거노인들에 필수적인데 몇몇 민간 의료업체들은 노인 돌봄 서비스사업에 이미 투자하고 있으며 이 시장은 향후 10년간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치과 분야 시장 규모가 크고 성장 가능성 높은 루마니아
루마니아에 현재 200개 이상의 민간 병원 및 클리닉이 있다.
루마니아 의료산업을 대표하는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매년 10% 내외의 성장을 기록하고 있다. 이유는 루마니아 GDP 증가에 따른 국민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증대와 정부의 의료서비스 지출 확대가 이유가 된다.
루마니아 정부는 국공립 병원 추가 설립 과 국공립병원 서비스 질개선을 위한 의료 분야 정부지출을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년 2월부터 의료개혁조치에 따라 민간병원에서도 의료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범위를 확대시켜 민간병원들의 의료서비스가 더욱 더 확대됨에 따라 의료기기시장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의료기기 시장 세부분야별로 보면, 영상진단기 분야, 소모품, 치과 분야의 시장규모가 크고 또한 증가율도 매우 높으며 세부 분야별 시장 규모는 표와 같다.
# 의료기기 수입은 지속적으로 증가
루마니아 의료기기 시장은 거의 수입에 의존하는 구조로 2020년 의료기기 수입(HS CODE 9018류)은 코로나로 인해 전년대비 -1.4% 감소했지만 루마니아의 의료기기 수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주요 수입국은 독일, 네덜란드, 중국, 오스트리아 등이며 한국은 14위이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진단키트, 방역복등의 한국산 수출이 증가하고 있는 등 한국산 의료기기에 대한 루마니아내 선호도가 매우 높아져 향후 주목할 시장임에는 틀림없다.
또한 민간병원에서 복합적인 질병 치료가 가능해짐에 따라 복합적인 수술에 필요한 다양한 의료기기를 구입수요가 증가할 것 으로 예상되고 있다.
우리 기업들이 루마니아 시장진출을 위해서는 CE인증 취득이 반드시 필요하다.
# 한국산 코로나19 진단키트 신뢰도 높아
최근 루마니아에서 한국산 코로나19 진단키트가 한국에서 NATO 수송기를 통해 루마니아로 보내짐에 따라 루마니아에서 한국 의료기기에 대한 신뢰도 인지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어 지금이 루마니아 시장에서 한국산 제품 판매를 확대시킬 최적의 시점이 되고 있다.
루마니아는 1인당 의료비 지출이나 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보았을 때 다른 EU 회원국보다 보건분야에 적게 지출하고 있지만 최근 들어 보건분야의 지출이 증가하고 있다.
2020년 보건분야에 1인당 761.6달러를 소비했고 이는 GDP의 5.9%(EU 평균 은 9.8%)에 해당하며 보건지출의 3/4이 공공기금으로 충당되며 이는 EU 평균 규모인 79.3%에 버금가는 규모이다.
루마니아에서 민간의료 서비스부문이 확산되고 있으며 특히 민간의료서비스에 대한 보험적용 및 코로나 바이러스팬데믹으로 인한 의료서비스 질 향상 요구로 민간 의료서비스분야 이용증가 등으로 매출이 증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루마니아는 유럽 평균이상의 경제성장규모를 가진 기회의 나라로 헬스케어분야는 정부의 중점관리분야 중 하나다. 이로 인해 새 병원건설및 기존 설비를 리모델링할 예정이며 개인 보건관리분야의 확충을 진행 중에 있다.
또한 약 2천만 명의 인구규모는 동유럽 2 위에 속하는 나라로 꼽히며 EU 가입 이후 소득이 증대되는 나라로 꼽히고 있어 기회의 나라임에는 틀림없다.
(자료: EMIS, Key market players, KOTRA 부쿠레슈티 무역관 자료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