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템올소, 치과교정학 심포지엄 ...MAJESTY Low Torque 재조명
오스템올소(대표 김병일)가 제1회 최첨단 치과교정학 심포지엄을 지난 23일(일)오스템 마곡사옥 대강당에서 개최됐다.
김지환 원장은 ‘성인 장안모 골격성 Ⅱ급의 Camouflage 치료: 이론과 실제’를 주제로 강의했다. 그는 Hyperdivergent pattern의 골격성 Ⅱ급 부정교합은 가장 치료하기 어려운 부정교합 유형 중의 하나지만 교정용 미니 임플란트를 비롯한 골격성 고정원의 발달로 전치부와 구치부를 모두 압하시키는 total intrusion mechanics를 통해 하악의 반시계 방향 회전을 유도하고 골격을 개선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최광효(아너스치과교정과) 원장은 ‘II급 부정교합의 캐리에 모션 치료와 Vertical and Sagittal change’을 주제로 Low-mandibular angle을 보이는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캐리에모션을 적용한 치료의 장점과 치열 및 안모의 수직적, 전후방적 변화를 여러 증례를 공개했다.
그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치료에서 전치부 반대교합을 해결해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수평적 안모양상이 심한, Low-mandibular angle을 보이는 III급 부정교합 환자라면, 강한 저작력으로 인한 Deep bite 때문에 Positive overjet을 만드는 과정이 더 어렵기 때문에 캐리에모션을 사용한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는 가장 먼저 반대교합을 해결하고, 그 이후에 치아배열과 교합의 개선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전치부 반대교합을 개선하고 I급 견치관계를 확립하는 것이 캐리에모션을 이용한 III급 반대교합 치료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덧붙여 “치열의 회전, 교합평면의 회전이 일어나서 반대교합을 개선하기 때문이며, 교합의 변화와 함께 하악골 회전이 일어나 치열뿐만 아니라 안모의 극적인 개선이 일어난다”고 말했다.
최형주 원장은 ‘상악 전치 Low torque bracket의 활용법’을 주제로 상악 전치 Low torque prescription을 사용해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를 할 수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마지막 강의는 김태우(서울대 치전원) 교수의 ‘Mini-implant를 이용한 개방교합의 치료’에 대한 강의가 진행됐다.
한편, 오스템올소의 마제스티 브라켓 출시 이후 치과의 브라켓 선택이 달라지고 있다.
수입 제품 위주의 국내 교정 시장에서 과학적인 설계와 뛰어난 사용 편의성을 앞세워 개발된 ‘마제스티 튜브’는 출시 이후 고객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대구치용 브라켓 ‘마제스티 튜브’는 슬림한 직각 형태의 바디 구조로 안정적인 홀딩이 가능하며 슬롯 치수 공차를 5% 이내로 최소화해 정확한 교정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 충분한 길이의 훅(Hook)과 패턴이 적용된 누름판 구조가 적용돼 Positioning이 편리하다.
특히 MAJESTY Low Torque는 여러 증례에 적용이 가능하지만 정상 교합의 평균 Inclination에 맞춘 Torque 사양으로, 특히 비발치 증례에 가장 적합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