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탈뉴스=김선영 기자]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회장 황재홍, 이하 KAOMI)가 지난 10월 13일 가톨릭대 서울성모 옴니버스파크에서 ‘Clinical Hurdle in Implant Dentistry: navigate your decision’을 주제로 추계학술대회를 진행했다. 

먼저 이유승(서울대치과병원보철과) 교수를 진행자로 하여 표세욱(강남세브란스치과보철과) 교수와 홍성진(경희치대 보철과) 교수는 ‘Update your prosthetic system!’을 주제로 함께 첫번째 콜라보레이션 강의를 했는데, 임플란트 보철에 있어 지대주와 크라운의 변천과정을 살펴보았고, 최근에 cementless system을 이용한 보철물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여 여러 보철방식을 한눈에 소개하고 비교하는 자리를 가졌다. 향후 각 보철 방식이 가지는 단점을 개선하고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공통적인 견해를 제안하여 최신 임플란트 보철에 대한 가이드 라인을 가지는 제시했다.

Symposium I 세션에서는, ‘Jump over the limit: Severe atrophic ridge(prosthetic approach)’라는 주제로 조리라 (강릉원주대) 교수와 노관태(경희치대 보철과) 교수가 각각 보철적인 관점에서 위축된 치조제에서 임상적으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과 노하우를 아낌없이 전수하였다. 이론적 배경과 실용적인 임상 팁을 적용하여 IARPD와 총의치를 자신감있게 치료할 수 있는 노하우를 공유했다. 

Symposium II 세션에서는, ‘Jump over the limit: Severe atrophic ridge(surgical approach)’라는 주제로 유상준(조선대치주과학교실) 교수와 지영덕(원광치대 구강악악면외과) 교수가 각각 수술적인 관점에서 위축된 치조제를 복원하는 다양한 골이식 및 연조직 처치법을 공유했다. 고전적인 block bone graft부터 particle bone과 여러가지 membrane의 조합으로 임플란트 식립이 적합한 구내 환경을 장기적으로 안정성 있게 갖추기위한 수술방법을 제안했다.

필수 교육 강의인, ‘Update your infection control in medically compromised patients’를 박원서(연세치대) 교수가 여러 전신질환자들의 치과치료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짚어주었고, 임상에서 감염과 연관된 요인 분석으로 근거 중심의 임상 노하우를 제시했다.

황재홍 회장은 “이번 학술대회강의는  각 과별로 콜라보레이션을 이루어, 임플란트 수술과 보철 관점에서 고려할 사항 중심으로 강의가 구성됐다” 며 “궁극의 임플란트 처방전을 제시하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