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적용할 수 있는 치주와 보철 테크닉으로 개원가로 더 가까이
[덴탈뉴스=김선영 기자] 대한인공치아골유착학회(회장 명훈, 이하 KAO)의 2024 추계학술대회가 11월 10일(일) 서울성모병원 의생명산업연구원에서 개최됐다.
‘Innovative Devices and Techniques: 나만 모르는 임플란트 장치와 기술’을 대주제로 다양한 임플란트 시스템과 보철에서 의료분쟁과 임플란트 장기 생존전략을 주제로 진행됐다. 먼저 Kido Hirofumi (일본후쿠오카대학) 교수가 ‘Integrated Treatment Workflow with Navigation system’을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이어 조영단(서울대 치주과학교실) 교수의 ‘임플란트의 장기 생존을 위한 전략’이 진행됐다. 조교수는 임플란트의 장기 생존을 위한 조직재생 및 유지관리 측면을 강조했다.
세 번째 연자는 이원표 (조선대 치주과) 교수로 ‘Full-Mouth Reconstruction: Innovative Devices, Techniques, and Fixture Designs’에 대한 강의를 진행했으며, 창동욱 (윈치과) 원장은 ‘불량한 골질에서 Osseodensification과 Plasma irradiation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 임상 노하우를 제시했다.
오후에는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의 최은숙 위원이 나서 ‘치과 의료분쟁과 예방에 관한 소고’를 강의했다. 최 위원은 “노인인구와 전신질환자의 증가에 따라 중증의 치성감염이 증가하고 있다”며 “치과진료시 발생한 의료분쟁 사례를 상세히 살펴보고 개원가에서 의료분쟁을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허중보 (부산대 보철과) 교수의 ‘Artificial ridge 개념을 적용한 디지털 임플란트 보철 수복’과 백장현 교수(경희대 보철과) 교수의 ‘임플란트 보철 어디까지 왔는가’와 이승철 (분당이한치과) 원장의 ‘Click-Fit, Safe 3.5 Case Presentation’로 강의가 이어졌다.
명훈 회장은 “이번 학술대회는 치주와 보철에 집중할 수 있는 주제로 준비해 개원가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다양한 테크닉들이 소개됐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