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정귀 교수, ‘약물관련악골괴사증(MRONJ)’ 학술지 게재...아이오바이오 BIS기술 활용

[덴탈뉴스=김선영 기자]구정귀(분당서울대병원) 교수가 바이오형광이미징 (BIS )기술을 이용한 약물유래악골괴사증(MRONJ) 수술 논문이 최근 학술지인 Photodiagnosis and Photodynamic Theraphy 에 게재됐다

구정귀 교수
구정귀 교수

구정귀 교수는 치아 상아질(Dentin)과 뼈의 구성성분이 동일하고, MRONJ를 유발하는 세균이 치아우식증을 유발하는 구강 상주균과 유사하다는 아이디어에 착안, MRONJ 골병변에 BIS를 활용해 병적 골조직만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즉 구 교수는 BIS 정보를 기반으로 병적인 골조직만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최소침습 수술기법을 제시하고, 성공적인 임상사례를 소개했다. 

MRONJ는 괴사된 뼈의 만성 세균 집락화와 관련된 병적 증상이며, 절제를 위한 범위 설정 시 세균의 재집락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는 수술이 성공의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구 교수는 이번 논문에서 병소에 인접한 치아및 임플란트를 보존하기 위해 바이오 형광 이미징(BIS)에 입각한 수술법으로 성공적 임상결과들을 보고하며, 난치성 질환인 MRONJ의 새로운 치료전략을 제시했다. 

구정귀 교수는 “ 난치성 질환인 MRONJ 치료에 바이오 형광이미징(BIS)이 새로운 치료 전략이 될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한편, BIS기술은 지난 9월 미국 FDA 2등급 의료기기등록을 완료했다. (주)아이오바이오(대표 윤홍철) 는 윤정호(전북대) 교수와 이동원(연세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에 동경의과치과대학과 오사카대학 연구팀이 합류해 임플란트 주위염 진단과 치료를 위한 바이오 형광이미징기술 적용관련 공동연구를 시작한다.  이 연구결과는 10월말 미국치주학회에서 발표할 계획이다. 

그림 1. 형광유도 MRONJ 수술기법을으로 MRONJ 병소에 이환된 치아 및 임플란트를 보존하는 최소침습적이면서 효과적인 수술기법을 제시하였다. (Photodiagnosis Photodyn Ther. 2024;50:104370)
그림 1. 형광유도 MRONJ 수술기법을으로 MRONJ 병소에 이환된 치아 및 임플란트를 보존하는 최소침습적이면서 효과적인 수술기법을 제시하였다. (Photodiagnosis Photodyn Ther. 2024;50:104370)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