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이 선호하는 시간 분석으로 고객만족도 높이기

고객을 상대하는 모든 서비스업은 계절별, 월별, 요일 별로 고객의 내원 수에 있어서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물론 병의원도 예외는 아니다. 그러므로 비수기와 성수기에 따른 병의원의 운영 계획은 다르게 짜여질 수밖에 없다. 고객들의 선호 시간을 미리 파악하고 인원이나 진료 시간을 적절히 조절하는 노력은 효율적인 경영을 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미리 고객들이 선호하는 시간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여 적절히 대처하는 방법을 찾아 두는 것도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병의원의 경영을 개선하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내원 고객의 연령별, 직업별 분석과 더불어 진료 내용, 평균 진료 시간을 분석하여 예약을 잡을 때에 적절히 이용하는 것은 고객의 만족도와 더불어 병의원의 시간 관리적인 측면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성수기를 앞두고 고려해야할 대책으로는 미리 직원을 교육하여 숙련도를 높이도록 하고, 진료 인원을 보강하고, 진료시간을 연장하는 등의 대비를 하는 것이 필요하며 나아가 고객을 효율적으로 진료하기 위해 팜플렛이나 동영상 등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지혜 도 필요하다.

더불어 성수기와 비수기에 따른 이용 물품의 양이나 종류에도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미리 적절히 제고를 확 보하도록 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비수기에는 성수기를 대비하여 직원들의 교육시간을 늘리고 마케팅을 시행하여 좀 더 많은 고객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안된다.

또한, 시간적으로 구애를 받지 않는 고객들에 대한 관리와 홍보를 강화하여 비수기의 고객 감소를 최소로 줄이고, 진료 내용에 있어서 시간적인 제한이 적은 진료 부분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여 비수기 동안에도 최대한 경영 성과를 개선하는 효과를 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병의원 경영자는 최근 몇 년간의 데이터를 참고로 하여 비수기와 성수기에 대한 분석을 한 후 보강할 점과 대비할 점에 대해서 구성원들과 함께 머리를 맞대고 아이디어를 모아서 실행해 본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최근에 병의원들의 경영난은 점점 더 심해지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좀 더 장기적인 안목으로 운영 계획을 짜서 경쟁력을 높이려는 노력은 매우 절실하다.

비수기와 성수기에 따라서 인력, 시간, 비용 등을 효율 적으로 신축성 있게 잘 운영하는 조직과 그렇지 못한 조직은 1년 후 손익 계산서에서 많은 차이를 보일 수밖에 없다.

마케팅 칼렌더를 펼쳐 놓고 미리미리 준비하고 실천 하는 조직 문화를 만들어 나가는 노력이 매우 필요한 때 이다.

이동성 원장은 가톨릭의과대학 및 동대학원을 졸업한 안과전문의이며 의학박사이자 경영학박사이다. 경희대학교 의료경영대학원겸임교수를 역임했으며 강남드림성모안과를 거쳐 현재는 강남아이메디안과 공동대표원장이다.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