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하반기 금융상품 추천
‘주식형 랩’과 ‘중소형주 펀드’가 뜬다. 신한금융투자가 ‘PB 100人이 추천하는 2015년 하반기 금융상품’을 주제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우수한 고객수익률과 자산관리에 뛰어난 영업장인(신한 아이스터)을 중심으로 한 신한금융투자대표 PB 100명이 참여했다.
설문 결과 올해 하반기 유망 금융상품으로 ‘주식형 랩’이 꼽혔다. PB 35명이 추천했다. 저금리 시대의 대표적 금융상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ELS/DLS가 31명이 추천, 2위 자리를 차지했다. 이어 펀드(16명), ARS 및 롱숏펀드(15명)가 뒤를 이었다.
‘주식형 랩’ 상품 중에서는 ‘국내주식 자문형랩(48%)’ 상품을 가장 많이 추천했다. 국내주식 시장이 해외 시장에 비해 저평가됐으며, 추가 상승 여력이 가장 큰 시장이라는 판단이다. ‘해외주식 자문형랩(26%)’, 분할매수형ETF랩(15%)이 뒤를 이었다.
펀드 중에서는 ‘국내주식형 펀드’를 첫 번째로 꼽았다. 무려 40%의 지지율을 받았다. ‘국내주식형 펀드’ 중에서도 ‘중소형주 펀드’(61%)가 압도적 1위를 차지해 주목을 끌었다.
전차로 대변되는 코스피 대형주보다는 성장 가능성에 중심을 둔 바이오 및 IT 장비/부품 등 중소형주가 더 유망한 것으로 해석된다. 섹터펀드(헬스케어 등 14%), 배당주 펀드(13%)가 뒤를 이었다.
미국 금리인상에 대비하는 상품으로는 시니어론(뱅크론_35%)을 가장 많이 추천했다. 시니어론은 미국 금리 인상 분을 그대로 반영하는 변동금리형 상품으로, 미국 금리 인상을 예상하는 스마트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상품이다. 투자 시 유망 국가로는 중국(47%), 유럽(17%), 일본(15%), 미국(9%)을 추천했다.
기온창(신한금융투자) 투자자문부장은 “올 하반기는 미국 금리인상으로 인한 글로벌 채권금리 동조화에 따라 안전자산(채권)에서 위험자산(주식, 원자재 등)으로 관심이 이동하는 소위 ‘Rotation’ 현상이 현실화되는 시기이다”라며 “일본, 중국, 한국, 대만 등 아시아지역 주식자산의 투자매력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둔 자산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채권의 경우 뱅크론(시니어론)과 같이 금리상승에 대비할 수 있는 투자상품으로, 풍부한 글로벌 유동성을 감안해 대형주보다 중소형주에 초점을 맞춘 자문형 랩과 펀드투자가 보다 유리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조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