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환자와 방사선치료 환자에게도 안정적인 식립결과 나타나

스트라우만의 SLActive® 표면은 상처 치유력이 저하돼 임플란트 시술이 어렵다고 알려진 당뇨 환자와 방사선 치료 환자에게도 안정적인 식립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당뇨 환자군과 비 당뇨 환자군 간 SLActive 성능을 비교한 임상시험에서 당뇨 환자군에서도 상처 치유력이 저하돼 임플란트 시술이 어렵다고 알려진 당뇨 환자와 방사선 치료 환자에게도 스트라우만의 SLActive® 표면은 안정적인 식립 결과를 보여줬다.

당뇨 환자군과 비 당뇨 환자군 간 SLActive® 성능을 비교한 임상시험에서 당뇨 환자군에서도 건강한 대조군과 유사한 골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당뇨 환자군에서의 SLActive® 임플란트 치료 성공률은 100%였다. 또한 방사선 치료 환자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 임상시험에서도 100%의 치료 성공률을 기록했다.

10년간의 임상으로 확인된 치료 성공률과 결과 예측성을 자랑하는 스트라우만의 SLActive® 표면은 높은 친수성과 빠른 골유착을 자랑한다. 아울러 즉시 식립의 경우에도 우수한 결과를 예측할 수 있었다.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나 전신질환이 있는 면역력 저하 환자군에서 높은 치료 성공률을 보였다. 크게 증가된 신생골 형성으로 골 이식이 강화됐다.

임플란트 치료 성공 여부의 관건은 ‘얼마나 빠른 시간 내에 임플란트 골유착이 일어나느냐’다. 그러므로 뼈와 맞닿는 ‘임플란트의 표면이 어떻게 처리 되었냐’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SLActive®는 소수성 표면인 SLA®보다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혈액친화력으로 단기간에 임플란트 뼈와 잘 융합되도록 한다.

SLActive® 모든 적응증에서 보다 높아진 안정성과 빠른 골유착 유도하고 6~8주였던 기존 치유기간을 3~4주로 대폭 단축시켜 치료계획 단계에서 치료결과 예측 가능성을 증가시켰다. SLActive®는 치료결과에 대한 예측가능성을 개선해 임플란트 초기 실패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대부분의 임플란트 치료실패는 2~4주 사이의 초기 치유기간에 발생한다.

▲ (표 1)

<표1>의 그래프는 SLActive®와 SLA®를 비교한 골유착 과정이다. SLA®표면 임플란트와 SLActive®표면 임플란트 두 가지 모두 유사한 치유 양상이 관찰됐으나, SLActive®표면 임플란트가 시술 2주 후 골-임플란트 접촉비율(BIC)이 더 높았고, 4주 후 이후엔 그 차이가 더 벌여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초기 치유단계에서 골유착이 더욱 활성화 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SLActive® 표면의 높은 친수성은 Non-submerged 임플란트의 Coronal circumferential defects 내 골형성을 촉진시킨다.<표2>

▲ (표 2)

SLActive®를 사용한 결과 빠른 골유착의 핵심 요소인 신생골 높이와 골 충전과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이 매우 높아졌다.

Dehiscence나 Fenestration 등과 같은 골 결선부는 온전한 골유착 진행을 방해한다.

개를 대상으로 한 동물 전임상시험 결과 SLActive® 표면 임플란트는 SLA® 표면 임플란트에 비해 차이를 보이며, 훨씬 더 성숙하고 많은 양의 Mature Bone 생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SLActive® 표면 임플란트가 Dehiscence type defects에서 골유착을 촉진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표3>

▲ (표 3)

SLActive® 표면 임플란트는 보다 높은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설계됐을 뿐 아니라 치료 초기단계에서 결과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높아, 술자에게 치료 결과에 대해 자신감을 갖게 한다.

또한, SLActive® 표면 임플란트의 즉시식립과 즉시식립 3년 후 survival rate는 각각 96.9%, 96.7%로 탁월한 생존율을 자랑한다.<표4>

▲ (표 4) 임플란트 식립에서부터 3년 간의 추적조사 시점까지 SLActive® 경계면의 crectal bone 변화

임플란트 식립 시점 대비 SLActive® 경계면의 bone crest level에 유의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치료 성공의 기준을 만드는 SLActive®

스트라우만은 SLActive® 표면의 우수성을 입증하고자, 전 세계적으로 저명한 임상의들과 함께 고난이도 케이스에서 치료 프로토콜에 따라 SLActive® 임플란트의 임상적 성능을 시험했다.

새로운 연구와 데이터가 쌓여가면서 환자의 치유력을 극대화시키는 SLActive®의 놀라운 결과를 경험하게 될 것이라는 게 스트라우만측의 설명이다. 오늘날 치과용 임플란트가 치료의 대세가 되면서, 환자들의 치료 기대치는 날로 높아지고 있다.

환자들은 자신의 골질이나 연령, 생활방식, 의학적 병력과는 상관없이 성공적인 치료결과를 기대한다.

스트라우만 측은 “SLActive® 임상 개발 전략의 주안점은 예측 가능한 치료결과를 달성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SLActive® 표면의 우수한 치유력을 입증하기 위해 스트라우만은 전 세계적으로 저명한 임상의들과 손잡고, 치료 상 최고 난이도의 의학적 병태 상황에서 치료 프로토콜에 따라 SLActive® 임플란트의 임상적 성능을 시험해 봤다.

새로운 통찰력이 생겨나고 새로운 데이터가 나타나면서, SLActive®의 치유력이 환자에게 어떤 혜택을 줄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됐다.

 

즉시 식립 10년 후 임플란트 생존율 98.2%

치료 결과가 장기간 지속되는 즉시 식립시 SLActive® 표면 임플란트의 놀라운 성능을 입증했다. 실제로 SLActive® 임플란트는 까다로운 치료 프로토콜에서도 10년간 생존율이 98.2%에 달했다.<표5>

▲ (표 5)

환자의 기대치가 높아짐에 따라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치료 프로토콜의 요구도 계속 늘어나고 있다.

임플란트 즉시 식립 방식을 적용하게 되면 임상의가 임플란트 식립과 보철 수복을 동일한 날에 진행할 수 있어 환자가 바로 수복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골 손상이 있는 방사선 환자군에서의 1년 후 임플란트 치료 성공률 100%로 드러났다.

 

방사선 치료 환자에게도 좋은 SLActive®

임플란트 치료가 가장 어려운 환자군 중에는 종양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를 함께 병행하여 받은 환자군을 손꼽을 수 있다.

방사선치료는 골 혈관분포감소와 조골세포 활성 손상, 골활력도 저하를 초래해 환자의 골질이 심하게 손상된다. 따라서 점막 손상이나 골괴사의 위험은 이후 치료에도 어려움을 줄 수 있다.

하지만 환자의 ‘삶의 질’측면에서 볼 때, 이와 같은 환자군은 임플란트 지지 보철 수복 치료법의 가장 큰 수혜자가 될 수 있다.

최근 진행된 무작위 임상시험(RCT)결과,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군에서 SLActive®는 100% 치료성공률을 보였다.

발표된 논문들을 보면, 무작위 임상시험 환경 내에서 이와 같은 환자군을 대상으로 높은 성공률을 나타낸 다른 브랜드의 임플란트 표면은 없었다.

주목할 점은 이번 임상시험의 5년 추적조사 결과 생존한 환자 중 SLActive® 임플란트 치료에 실패한 케이스는 없었고, 임플란트 Survival rate 100%였다.<표6>

▲ (표 6)

당뇨환자들은 상처 치유력이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임플란트 치료자체가 위험할 수도 있다.
특히, 환자가 자신의 상태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더욱 그렇다. 전 세계적으로 성인 11명 중 1명꼴로 당뇨병을 앓고 있으며 만 60세 이상 연령대는 당뇨유병률이 2배에 달한다.

미국 질병관리국(CDC)에 따르면, 지난 30년 간 미국 내 당뇨환자수가 4배로 급증했고, 향후 2050년에는 이 수치가 성인 3명 중 1명꼴로 증가할 것이라 전망했다.

제2형 당뇨병 환자 중 대략 50%가 당뇨병을 진단받지 않은 채 방치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형 당뇨 환자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임상의는 치료 위험 가능성에 어떻게 대처할 수 있을까?

특히, 환자가 고령자라면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 당뇨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SLActive®의 높은 치료 예측성에 대한 다양한 임상 논문들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

당뇨환자군 vs. 비당뇨환자군 간에 SLActive® 성능을 비교한 새로운 임상시험 결과, SLActive® 임플란트의 탁월한 성능이 그대로 발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한 대조군의 결과와 유사한 골 변화를 관찰한 결과 골질의 레벨이 보다 낮게 관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시험의 모든 임플란트가 양호한 안정성을 보였다.

 

손상된 부위에서도 더욱 강화된 골 재생

골 결손이 있는 경우, 골유착에 대한 예측가능성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 최근 한 전임상시험결과에 따르면 SLActive® 표면은 8주 이내 신생골 응집체의 생성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LA® 표면 임플란트에 비해 SLActive® 표면 임플란트 치료군에서 Buccal bone과 임플란트 접촉률이 더 높은 곳으로 보였다.<표 7>

▲ (표 7)

Coronal circumferential 결손부에서도 높은 골유착을 보여, SLActive® 표면 임플란트의 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