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해자 환자 67.9%·의사 21.1%

치과위생사들이 언어폭력에 그대로 노출돼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특히 환자로부터 심각한 언어폭력에 시달리고 있어 적극적인 방안이 요구된다.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치위생학과 박사과정 문학진, 한예슬 씨의 연구논문(지도교수:임순연) ‘임상 치과위생사의 언어폭력 경험 및 대처방안’이 한국치위생과학지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대전·충남 소재 치과 병·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89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결과 치과위생사들의 57%가 최근 1개월 이내에 치과에서 언어폭력을 경험했다. 언어폭력의 주된 가해자는 환자(67.95)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치과의사(21.1%), 치과위생사(10.0%), 기타 직원(1.0%) 순이었다.
치과위생사의 임상경력이 높을수록 언어폭력 경험률도 높았다. 또 진료실 업무보다 접수, 수납 및 상담 업무인 경우 언어폭력의 경험이 많다고 응답했다. 이는 업무 특성 상 환자의 불만사항이 접수대에서 주로 발생되고 접수대 업무는 직위가 높은 치과위생사가 담당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치과위생사가 자각한 언어폭력의 이유에는 ‘의료서비스에 대한 불만을 나에게 화풀이 한다’가 17.0%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환자나 보호자가 질병과 관련된 고통을 화풀이 한다’가 14.1%를 차지했다.
언어폭력의 유형에는 ‘반말을 한다’가 21.6%, ‘큰소리 지른다’ 16.3%, ‘비아냥거리는 말을 한다’가 11.3%를 차지했다. 언어폭력을 경험했을 때 대처하는 방식은 소극적이었다. ‘참는다’가 12.3%, ‘무시한다’ 8.2%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와 관련해 한예슬 씨는 “치과위생사를 단순 서비스 제공자로 인식하는 사회를 보여준다”며 “치과 내에서 발생하는 언어폭력을 예방하고 대처할 수 있는 적극적인 방안을 고안해야 한다”고 밝혔다.
![]() |
![]() |


